![]() |
경기동부환경운동협의회 주최로 열린 이날 토론회에는 왕숙천 유역주민대표를 비롯해 각종 사회단체대표, 언론인 등 환경 관련인 13명이 참석해 왕숙천 유역의 다산신도시, 왕숙1-2신도시, 산업단지1-2, 열병합발전소 등 대규모건설에 따른 인구유입으로 생활용수 및 오수발생의 하천수질에 절대적 영향을 우려하는 열띤 토론을 펼쳤다.
이날 참석자들은 하천관리에는 유역주민들이 참여해 과거의 역기능에서 순기능으로 하천이 건강한 생태를 유지돼야 도시의 브랜드 가치도 높아지고 삶의 여유가 생긴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또 접근성이 수월해 수도권 인구의 과다유입에 의한 과밀화 현상, 인근 농수산물공사에서 번져 나오는 악취 문제 등 왕숙천의 직접적 문제점지적과 함께 한강유역의 난개발 대응, 제3기 신도시 건설에 따른 하천파괴 우려 등 심도 있는 토의도 이어졌다
한편, 왕숙천은 향후 10년 내에 150만에서 200만명의 유역인구 수용이 예상되는 생활하천으로서 3개 지자체(포천시. 남양주시. 구리시. 상류 순)가 그 동안 안목 없이 인위적으로 훼손한, 자연생태계와 반생태적인 시설물을 제거하고 식물, 양서류, 어류들이 조화롭게 살아 숨 쉬는 생명의 공간을 꿈꾸고 있는 하천이다.
남양주=김호영 기자 galimto2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