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참석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것은 짐작할 부분이 있다. 윤 대통령이 6월 말 '연구개발(R&D) 카르텔'을 언급한 후 정부의 내년 R&D 예산은 올해 대비 5조2000억원(16.7%)이나 축소됐다.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등 10개 단체들은 R&D 예산 삭감과 관련 공동 대응에 나서는 등 반발하고 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한국 정부가 갑작스럽게 내년도 R&D 예산을 삭감해 과학자들을 놀라게 했다"고 전할 정도다.
이런 여건 탓에 대통령실이 참석 여부를 고민하는 것으로 보인다. 2013년 대덕특구 출범 40주년 행사엔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2003년 30주년 행사엔 노무현 대통령이 참석해 과학기술인을 격려했다. 1973년 허허벌판에 대덕특구 첫 삽을 뜬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79년 10월 25일 '과학입국 기술자립'이라는 휘호가 걸린 대덕단지 종합상황실을 불시에 방문, 단지 건설 현황을 보고받고 자리를 떴다고 한다. 10월 26일 세상을 떠나기 전날이다.
경제계와 산업연구기관 민간 전문가 80여명은 최근 '산업대전환 제언'을 정부에 전달했다. 우리 경제가 성장을 기대하기는커녕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답습하지 않을까 우려해서다. 제언의 핵심은 인재육성, R&D 투자, 산업혁신 등이다. 윤 대통령은 '제2대덕연구단지' 조성 등 기회가 될 때마다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대덕특구 출범 5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해 연구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과학기술계의 우려를 덜어줘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