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청년들 숨진 금산 금강 유역…지난 달 이어 익사사고 반복

  • 사회/교육
  • 사건/사고

20대 청년들 숨진 금산 금강 유역…지난 달 이어 익사사고 반복

비슷한 지점서 지난 6월 3일 다슬기 채취하던 나들이객 사망
경고문 곳곳에 설치돼 있지만 반복된 사고에 안전 관리 도마

  • 승인 2025-07-10 18:31
  • 수정 2025-07-10 18:56
  • 신문게재 2025-07-11 6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IMG_4721
충남 금산 기러기공원 인근 금강 수역에서 물놀이를 하던 20대 4명이 사고를 당한 현장에 부표가 떠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20대 4명이 사망한 금산 기러기 공원 일대 금강 상류 지점은 수난사고 위험 지역으로 지난달에도 50대 여성이 다슬기를 채취하러 들어갔다가 숨진 사고가 있던 것으로 파악됐다.

입수 금지 구역으로 '수영금지' 등 위험을 경고하는 안내판과 현수막이 설치돼 있고 안전요원들을 배치됐음에도 불구하고 인명사고가 끊이질 않아 지자체 안전관리 미흡과 방문객들의 안전불감증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10일 중도일보 취재결과, 전날 발생한 금강 제원면 천내리 사고 지점과 얼마 떨어지지 않는 곳에서 지난 6월 3일에도 50대 여성이 물에 빠져 사망한 사고가 있었다. 낮 12시 30분께 지인과 함께 다슬기를 채취하러 강에 들어갔다가 수심 3m 깊이 물속에 빠졌는데, 구조대 수색으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지만 숨졌다.

두 사고가 일어난 제원면 천내리 일대 금강은 수심이 최대 8m로 상류 구간이라 유속도 거센 편이다. 특히 물이 맑아 다슬기가 많이 잡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시야 확보가 어려운 야간이나 수확 중 장화가 강바닥 웅덩이 속에 박혀 물에 빠지는 사고가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인근에 출렁다리와 식당가, 숙소들이 있어 여름 피서객들이 자주 드나들어 물놀이 사고 위험이 크다. 앞서 지난해 8월에는 사고 지역 근방인 금산군 부리면 신촌리 금강 유역에서 물놀이를 하러 들어간 50대가 물살에 휩쓸렸는데, 수영 미숙으로 빠져나오지 못해 익사한 사고도 있었다.



문제는 이미 금산군에서 수난사고 위험 구역으로 분류하고 입수 금지를 안내하고 있었음에도 또다시 같은 지점에서 인명사고가 발생했다는 점이다. 사고 현장 곳곳에는 '수영금지'와 '깊은 수심 주의'를 알리는 표지판 6개, CCTV 1대가 설치돼 있다. 수상 안전요원 2명도 배치해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순찰을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수심이 깊어지는 구간에는 사람이 넘어가지 못하게 안전 부표도 설치해놨지만, 사망한 20대 4명은 안전부표 지점을 넘어선 수심 3~5m 깊이에서 숨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사고 당일 안전요원들이 입수 금지 구역 확인과 통제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지속적인 폭염에 계곡과 강가, 해수욕장을 찾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어 피서객들의 물놀이 사고 경각심이 필요하단 목소리도 크다. 지난해 대전과 충남 소방에 접수된 수난사고 건수는 총 798건으로 이중 충남에서 발생한 익수사고 697건 중 28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금산소방서는 수난사고 발생 위험이 큰 유원지·하천 지역에 대한 특별 순찰 및 여름철 수난사고 대응체계를 다시 한번 점검하겠단 계획이다.

이번 사고에 대해 금산군은 "사고 현장에 사망자 발생 지역 알림 현수막을 게재하고, 사고대책본부를 가동해 원인 조사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KAIST 장영재 교수 1조 원 규모 '피지컬 AI' 국책사업 연구 총괄 맡아
  3. [사이언스칼럼] 우주에서 만나는 두 가지 혁신: 디스럽션을 넘어 확장으로
  4. 건양대, 'K-국방산업 선도' 글로컬 대학 비전선포식
  5. 자신이 돌보던 장애인 수당 빼돌린 요양보호사 실형
  1.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2. [2026 수시특집-목원대] 대전 최초의 명문사학… '71년 전통' 기반 과감한 교육혁신 선도
  3.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4. [교단만필] 나는 호구다
  5. [홍석환의 3분 경영] 정도 경영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학업중단율은 증가세를 보이며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저출생 여파에, 대입 전략을 위해 스스로 자퇴를 택하는 고등학생들이 늘면서 등교하는 학생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8일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2025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충청권 시도별 유·초·중등 학생 수는 대전 16만 4591명, 세종 6만 8091명, 충남 24만 9281명, 충북 17만 3809명으로 집계됐다. 학생 수는 전년보다 대전은 2.7%, 충남 2.1%, 충북 2%가 감소했고 세종만 유일하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