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광장
2021-01-20
테스형을 처음 만나게 된 계기는 '하얀 거짓말'은 허용되는가? 라는 의문 때문이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시시때때로 거짓말을 한다. 그런데 그 거짓말의 목적이 사익(private goods)이라면 '까만 거짓말'이 되고, 공동선(public goods)을 위해서라면 '하..
2021-01-13
얼마 전 천안에서 흥미로운 사건이 보도됐다. 멀쩡한 공중화장실의 변기 십여 개가 난데없이 철거될 지경이라는 것이다. 공중화장실의 남·여 변기 수는 같아야 한다는 법률이 문제되자 여성화장실의 변기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남성화장실의 변기를 없애는 창의적인 해결 방법이..
2021-01-06
2021년 새해를 맞이하면서 아이들의 꿈을 생각해본다. 아이들이 행복할 권리를 찾아주기 위해선 부모와 교사,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가 보호하고 존중하며 그 아이들의 꿈을 우리 사회의 소망으로 가지고 함께 이뤄야 한다. 헤비거스트(R, Havighurst)는 개인이 행복하..
2020-12-30
주시경 선생은 확고한 언어 의식과 독창적인 이론을 토대로 국어 문법을 기술한 학자로서 독보적인 인물이었다. 선생은 지금도 국어학사에서 상징적인 존재로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제시한 문법 체계는 현대 국어 문법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는 데 여전히 유효하다. 그런 점에..
2020-12-23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비수도권 인구를 추월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6월 말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수도권 인구는 2600만 6083명으로 전체 인구의 50.2%를 차지해 비수도권 인구를 넘어섰다. 다시 말해 국토 면적의 11.8%를 차지..
2020-12-16
연일 코로나 확진자 증가에 관광업계의 한숨은 더 깊어지고 있다. 코로나 백신 개발과 함께 정상궤도에 오를 것 같았던 여행과 서비스 및 항공 업종은 조금 더 고난의 시기를 잘 넘어야 할 것이다. 코로나 위기가 극한 상황에 처하면서 우리 삶에서 이동은 매우 제한적인 형태로..
2020-12-09
생뚱맞게 들릴지 모르겠다. '대중교통이라면 그 특성상 밀접접촉 우려 때문에 코로나 발생 이후로 찬밥신세 아닌가?'라고 반문할 것이다. 맞는 말이다.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의 구글의 이동성보고서(mobility report) 자료와 코로나 확진자를 연계해 분석한..
2020-12-02
지금으로부터 2년 전, 하청업체 청년노동자가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컨베이어벨트에 끼여 숨졌다. 매년 2400여 명의 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죽고 있고, 하루 7명의 노동자가 출근했다가 퇴근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2년 전 6월 세계 5위 연기금인 네덜란드 공적연금(ABP..
2020-11-25
다시, 대학은 신입생 유치를 위해 사활을 걸고 있는 입시철이다. 우리나라의 수많은 대학은 독자적인 건학 정신과 정체성을 가지고 교육 이념에 따른 시대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우리나라 근대교육의 기원을 소급해 살펴보는 것도 나름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돌아..
2020-11-18
올해는 우리가 그동안 경험하지 못했던 많은 재난 상황에 직면한 기록적인 해로 오랫동안 기억될 듯하다. 중국으로부터 1월에 유입된 전염병인 코로나19의 국내 확진자 수는 이제 2만 8000명에 다다르며 지난 9일을 기준으로 사망자도 480명이나 발생했다. 그뿐만 아니라,..
2020-11-11
중앙정부로부터 '행정수도 완성' 이슈는 국회의 세종시 이전 등에 대한 논의로 시작했다가, 코로나 19의 재확산 등에 의해 다소 잠잠해졌다. 그러나 허태정 대전시장은 이에 더해 대전시와 세종시 간의 통합카드까지 들고 나왔다. 이러한 사회, 경제, 행정, 산업 등의 통합..
2020-11-04
올해 6월, 수도권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50%를 넘어섰다. 작은 도시국가를 제외하곤 단연 세계 최고수준이다. 수도권의 과밀 우려로 수도 이전을 계획할 즈음인 1970년 인구비율이 28.7%였으니 50년 사이에 두 배가 된 것이다.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몰려드는 이유를..
2020-10-28
충남 천안시에 있는 한 중학교 배구부 감독이 지난 1월 전지훈련 과정에서 학생 선수에게 욕설과 폭언을 했다. 당시 상황은 학부모가 찍은 동영상에 고스란히 담겼고,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관련 기관에서도 조사에 나서며 지역사..
2020-10-21
10월은 한글의 의미를 되새기고 자랑스러운 한글을 문화유산으로 가진 것에 넘치는 자부심을 갖고 이를 기리는 문화의 달이다. 이번 10월 9일은 세종이 만드신 한글을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제정한 574돌을 맞이하는 한글날이었다. 한글날은 한글이 반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