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7. 대전 중구 대흥동 카페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7. 대전 중구 대흥동 카페

중구 대흥동 카페 66곳으로, 1년 전과 비슷
매출 매월 수직 상승... 중구 평균보다 높아
20·30대 여성 고객 사로잡는 게 키포인트

  • 승인 2024-11-14 16:17
  • 신문게재 2024-11-15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대흥동1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17. 대전 중구 대흥동 카페



원두에 따라 맛이 변한다. 고소한 원두는 호불호 없는 풍미와 단맛을 낸다. 산미가 느껴지는 원두는 과일 향이 나기도 하며 개성이 넘친다. 어떤 원두냐에 따라 커피 맛을 가른다. 직장인 김 모(48) 씨는 저가 커피 전문점보다는 자신만의 색을 입힌 카페를 차리길 원한다. 그는 틀에 박힌 맛보다는 그 카페를 생각했을 때 나는 특별함이 소비자들에게 매력으로 다가온다고 확신한다. 전국 카페 지도를 손수 만들 만큼 커피에 애정이 가득한 그는 수년 전부터 창업을 꿈꾸고 있다. 다만, 현재 직장만큼 수익을 낼 수 있을지가 걱정이다. 그의 고민을 덜어주자.



▲경쟁자는 얼마나=김 씨가 원하는 대전 중구 대흥동 상권의 카페는 2024년 6월 기준 66곳이다. 1년 전 65곳에서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는 모습이다. 반경 1km 내엔 314곳의 카페가 있고, 중구 전체로는 623곳이다. 대전 전체는 3941곳이다. 통상 업소수 증가는 해당 업종의 경기가 좋을수록 증가하며 여러 업종에서 동 시기에 업소수의 증가가 발생하는 경우는 부정적인 요소로 인한 변동일 가능성이 높다. 해당 상권 카페의 업소 수는 큰 변화가 없고, 인근 상권보다 오밀조밀 모여 한 번 자리를 잡으면 입소문을 통해 업력을 이어가기 좋을 것으로 보인다.





▲매출은=그의 가장 큰 걱정거리인 매출은 월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2024년 8월 기준 해당 상권의 매출은 월평균 2184만원으로, 1년 전(1591만원)보다 크게 올라섰다. 매월 지속적으로 오르던 매출은 2024년 7월 2000만원을 돌파한 뒤 점진적인 상승곡선을 그린다. 해당 상권의 매출은 반경 1km 월평균 매출인 1298만원보다 높고, 중구 전체인 1120만원을 웃돈다. 대전 전체 매출이 1166만원인 것과 비교하면 두 배가량 매출이 나오는 셈이다. 매출은 주중과 주말 큰 편차가 없었다. 주중 매출은 평균 293만원, 주말은 360만원이다. 주중엔 월·화요일이 각각 218만원, 220만원을 제외하곤 300만원대 매출이 나왔다. 주말엔 토요일이 412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요일은 308만원이다. 주중과 주말 매출의 편차가 크지 않은 상권이면 좋은 상권으로 볼 수 있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대흥동 상권 카페는 여성들이 많이 찾는다. 여성 매출은 월평균 1486만원이고, 남성은 645만원이다. 연령층은 20대가 876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30대 509만원, 40대 362만원, 50대 265만원, 60대 이상 75만원, 10대 44만원 순이다. 20·30대 여성 취향을 고려한 영업 전략이 필요하다 볼 수 있다. 방문 시간은 점심 이후인 오후 2시부터 5시가 834만원으로 높았다. 이어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 567만원, 오후 5시부터 9시 531만원, 오전 6시부터 11시 192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요일·시간대별 매출 비율을 통해 평균 매출이 낮은 요일은 할인행사나 이벤트를 진행하는 방안을 활용할 수 있다. 또 성별·연령대별 매출 비율은 선택 상권과 업종을 주로 이용하는 타겟 고객층을 의미한다. 주 타겟고객 성별과 연령을 고려해 서비스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적절하다.



▲잠재적 고객인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유동인구는 2024년 8월 기준 3만 4060명으로, 1년 전(5만 2082명)보다 줄어든 상태다. 2024년 6월 2만 9901명에서 7월 3만 1338명으로 3만명대를 회복하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9424명으로 50대 6611명, 40대 6009명, 20대 5470명, 30대 4337명, 10대 2211명 순이다. 유동인구는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모두 3만명대를 유지했으며, 일요일이 유일하게 2만 5429명으로 낮았다. 직장인구는 남성이 4047명, 여성 6437명으로 총 1만 484명이다. 연령대별로는 30·40·50대, 60대 이상 모두 2000명대였고, 20대는 1401명으로 가장 저조했다. 이들 직장인구 소비는 2024년 상반기 185만원에서 215만원으로, 2023년 하반기(184만~214만원)와 비슷하다. 김 씨의 카페 창업에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2. '아산콜버스' 시범 운행 돌입
  3. '아산시 이통장 한마음 대회' 성료
  4. 아산시, 개별공시지가 열람-이의신청 접수
  5. 아산시의회-영등포구의회,자치발전 교류 간담회
  1. 아산시, 북부권 키즈앤맘센터' 건립 사업 '순항'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3.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4.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국토교통부가 2월 철도 지하화 선도지구를 지정한 데 이어 12월 추가 지하화 노선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대전역 철도입체화 사업이 추가 반영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국토부 선도지구에 대전이 준비한 두 사업 중 대전 조차장 철도입체화 사업(약 38만㎡)만 선정됐지만, 이번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철도 지하화 대선 공약과 해당 지역 개발 여건 강화 등으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12만㎡)이 반영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월 '철도 지하화 및 통합개발 특별법'을 제정한..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꿀잼대전 힐링캠프, 캠핑 가족들의 열정과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꿀잼대전 힐링캠프, 캠핑 가족들의 열정과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국회를 찾아 2026년 정부 예산안 편성 방향을 직접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다. 이 대통령은 국회의 예산안 심사 개시에 맞춰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예산안 편성의 당위성 등을 설명한 후 국회의 원활한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8월 29일 전년도(673조 원) 대비 8.1% 증가한 728조원 규모의 2026년도 슈퍼 예산안 편성 결과를 발표했다. 총지출 증가율(8.1%)은 2022년도 예산안(8.9%)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경제 성장을 위한 인공지능(AI)과 연구·개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