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도청전경<제공=경남도> |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행정기관과 금융기관, 병원 등에서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주요 공공서비스와 모바일 금융서비스에서도 활용할 수 있어 도민들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경남도는 지난해 12월 27일부터 거창군에서 시범사업을 실시하며 발급 과정의 불편사항을 점검했다.
2월 1일부터는 행정안전부와 협력해 시군 지원반을 구성하고 각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의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발급 방법은 두 가지다.
IC주민등록증 태그 방식은 실물 주민등록증을 휴대전화에 태그해 직접 발급받는 방식으로, IC칩이 없는 경우 1만 원 수수료가 발생한다.
QR코드 방식은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담당 공무원이 제시하는 QR코드로 무료 발급받을 수 있다.
발급 대상은 17세 이상 도민이며, 주민등록증을 지참하고 관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면 된다.
사전에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을 본인 명의 휴대전화에 설치해야 한다.
행정안전부는 2월 14일 경남을 포함한 1단계 지역(경남·대구·대전·울산·강원·전북·전남·경북·제주)을 시작으로 3월 28일부터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3월 28일까지는 주민등록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만 신청 가능하다.
경남도 관계자는 "모바일 주민등록증 도입으로 도민들의 신원 인증이 더욱 간편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발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편을 최소화하고 도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디지털 도정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