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건의료노조 성가롤로병원지부가 17일 직원의 산별현장교섭 핵심요구안에 대해 무책임한 교섭태도로 일관하고 있는 병원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있다./이정진 기자 제공 |
성가롤로병원지부는 "노동조합의 산별현장교섭 핵심요구안은 직원의 건강권이다. 광주전남의 노동조합이 있는 병원 중에 유일하게 성가롤로병원만 병가와 유급수면 휴가가 없다"며 "병원노동자는 불규칙한 3교대 근무라는 업무의 특성때문에 호르몬 불균형, 높은 업무 강도, 수면의 질 저하 등으로 질병 발생 비율이 매우 높은 사업장으로 당연히 그 책임은 병원에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병원사업장에서는 병가를 치료와 회복, 연차를 휴식으로 구분하고 있다. 병가를 두지 않는 것은 치료와 회복의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고, 연차로 쉬어야 할 휴식마저 침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야간근무는 WHO의 국제암연구소에서 규정하는 2A등급 발암물질이다. 수면결핍은 고혈압, 당뇨등 각종질병을 유발하고 특히 의료인에게 치명적인 주의력 결핍을 유발하기 때문에 대다수의 병원에서 유급수면휴가를 두어 야간근무를 하는 노동자에게 충분한 휴식권을 보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의정갈등으로 인해 많은 환자가 모여 들면서 직원들은 고강도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2024년 성가롤로병원은 수백억의 흑자를 달성했고 2023년 대비 20%가까운 성장을 기록했다. 병원이 수백억원의 의료수익을 올리는 동안 직원들은 자신의 건강을 희생하는 것이 일상이 되어버렸으며 병원은 여전히 직원들의 복지와 건강문제에는 묵묵부답"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사측은 2020년 이후 6년째 불성실한 교섭으로 일관하고 있다. 올해도 어김없이 병원은 교섭시작 한 달이 넘도록 고민 중이라며 답변으로 교섭을 해태했으며 마지막까지 직원의 건강권에 대해 아무런 대답을 내놓지 않았다"고 말했다.
성가롤로병원지부는 "사측은 지방노동위원회 조정신청 이후에도 병원은 일주일 넘게 교섭을 거부하고 있다. 불성실하고 무책임한 교섭태도로 일관하면서 조정과 파업으로 몰아가고 있는 것은 병원 측이다.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특별한 것이 아니라 환자안전과 직결되는 직원의 건강권 문제"라며 "성가롤로병원 직원들의 절박함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직원의 건강권과 함께 환자안전을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병원이 직원의 건강권과 환자의 안전을 위한 우리의 요구를 끝까지 거부한다면 24일 성가롤로병원은 총파업에 돌입할 것"이라는 각오을 밝혔다.
순천=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