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톤레삽 호수에서 한 어부가 다른 선박을 견인하고 있다. |
캄보디아 씨엠립에서 자동차 50분 거리에 톤레삽이라는 호수가 자리하고 있다. 씨엠립에서 남서쪽으로 15㎞ 떨어져 있는데 메콩강의 옆구리에 튀어나온 물자루 형태다. 숙소가 있던 곳에서 톤레삽까지 직선거리는 가깝지만, 캄보디아의 도로가 비포장이 많고 그나마 포장된 도로도 넓지 않아 한국에서의 소요시간보다 2배 이상 걸리는 듯했다.
 |
씨엠리업에 설치된 대한민국-캄보디아 우정의도로 표지석 |
캄보디아 씨엠립에 사흘을 머무는 동안 중심도로를 벗어난 이면도로는 대부분 지금도 비포장 황톳길이었다. 그만큼 경제발전이 더디고 기반시설이 상당히 부족하다는 의미였다. 씨엠립 거리를 걷다가 마주한 '대한민국-캄보디아 우정의 도로'표지석이 그래서 더 반가웠다. 귀국 후 찾아본 결과 대한민국 정부의 무상원조를 전담하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 지원으로 앙코르와트의 우회도로가 2009년 마련됐다. 앙코르와트 서측 4.85㎞와 동측 10.34㎞ 등 두 곳에 총 15.2㎞의 길이로 완공된 이 우회도로는 앙코르와트를 관통하는 차량으로 유적지가 훼손돼 그 피해를 막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버스를 타고 톤레삽을 찾아가는 길은 캄보디아의 숨결을 깊이 들어가는 느낌이었다. 창밖 마을의 풍경과 주민들의 생활을 보는 게 씨엠립의 상업거리를 보는 것보다 훨씬 현실적이었다. 아이들이 뛰어노는 모습, 집을 짓는 공사장, 담장 밖에 내걸린 빨래까지 눈을 뗄 수 없었다.
 |
톤레삽에서 관광객을 실어나르는 선착장 모습 |
그렇게 한 시간가량 달려 도착한 곳은 톤레삽의 선착장으로 많은 관광객이 유람선을 타기 위해 이미 모여 있었다. 어항에서 맡음 직한 물 비릿내가 살짝 느껴졌고, 곧이어 황토색 톤레삽 풍경이 눈에 들어왔다. 톤레삽 호수는 메콩강의 곁가지이면서 1년 중 6개월은 물이 크게 불어나고 6개월은 수위가 낮아진다. 메콩강은 캄보디아를 남북으로 가르는데 11~3월 건기에 물이 줄어 호수의 크기는 2500㎢로 서울의 5배 크기까지 줄고, 4~10월까지 우기는 1만3000㎢까지 커진다.
앙코르왕조의 번성기에 앙코르에 최대 100만명까지 거주한 것으로 알려지는데 이러한 문명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도 톤레삽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마르지 않는 식수원이자 농경지에 물을 대는 수원지이면서 풍부한 어류를 잡아 올리는 보물 같은 존재였으리라.
 |
톤레삽 수상마을 주민들 모습 |
기자단 일행은 약속된 선박에 올라 본격적인 톤레삽 호수 깊은 곳으로 들어갔다. 호수 주변 제방을 따라 물속에 지지대를 박고 그 위에 지은 집들이 이어져 있다. 톤레삽의 수상마을이다. 물 위에 있으니 담장 없고 보트가 유일한 통행 수단이다. 가난하지만 있을 것은 다 있다. 수상 학교에는 교복을 입은 아이들이 보였고, 물건을 진열한 슈퍼마켓, 교회도 있으며, 경찰서까지 물 위에 둥둥 떠 있다. 수상마을에 사는 사람들이 모두 캄보디아인은 아니고 수상마을 주민 중 약 30%는 베트남 난민이라고 한다. 캄보디아의 우기는 톤라삽의 이사철이면서 하류에 자리잡고 잇던 선상가옥부터 하나씩 상류로 올라가야 한다.
 |
관광객을 실은 유람선이 톤레삽 호수를 쉼 없이 오간다 |
선상마을도 더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톤레삽 깊이 들어선 후 기자단 일행의 배는 뱃머리를 돌렸다. 광활한 바다처럼 수평선이 펼쳐진 게 눈으로는 톤레삽의 너비를 가늠할 수 없었다. 선박 유람을 마치고 선착장으로 돌아오는 길, 물고기를 잡는 어선보다 관광객을 태운 유람선이 더 많아 보인다는 생각을 했다. 세숫대야만 한 그릇에 올라 쉼 없이 팔을 저으며 물 위를 떠다니던 꼬마와 그물에 낚인 물고기를 털어내던 어부의 모습이 눈에 박힌 듯 기억에 남아 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https://www.youtube.com/watch?v=cthJDObtUJg&t=22s |
<캄보디아 연수기 동영상>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