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대 제17대 교수회장에 유석호 교수 취임

  • 전국
  • 공주시

공주대 제17대 교수회장에 유석호 교수 취임

  • 승인 2018-09-11 11:21
  • 박종구 기자박종구 기자
공주대학교는 제 17대 교수회장으로 10일 취임했다.

유석호-교수회장
유석호 교수
10일 백제교육문화관 컨벤션홀에서 김희수 총장직무대리를 비롯한 보직교수, 교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 17대 교수회장 예술대학 게임디자인학과 유석호 교수 취임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취임한 유석호 교수는 지난 6월 20일 공주대 교수회 정기총회에서 교수회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오는 2020년 8월 31일까지 2년간 공주대 교수회장직을 수행한다.



유석호 신임 교수회장은 취임사를 통해 "충남 대표 국립대학으로서의 위상을 세우고, 지역 거점대학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공주대 발전과 충남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며 "대학내외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며 공주대 교수회 발전을 위한 비전과 방안들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신뢰받는 교수회를 지향, 구성원과의 소통과 의견수렴에 그 방안을 두겠다"며 "이를 위해 교수회 평의원회와 운영위원회 시스템을 정비하고, 의사 결정과정의 시스템도 공정하고 개방적으로 운영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투명한 교수회가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유석호 교수회장은 상지대에서 디자인학사와 국민대 시각디자인학과에서 석사를 취득했으며, 뉴욕공대에서 커뮤니케이션아트전공으로 두 번째 석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공주대 게임디자인학과 교수로 있으며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예술대학장을 역임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공주=박종구 기자 pjk006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청권 수련병원 전공의 추가모집 착수…"또다시 특례"
  2. 지역대 글로컬대학 본선 티켓 따낼까… 예비지정 대면평가 돌입
  3. 호스피스병동 아버지 향한 아들 부부의 합주… "투병 앞 잠시 위로와 쉼되었길"
  4. 증산도 상생봉사단, 태백산서 자연정화.산불예방 캠페인 벌여
  5. 대전 골목 지키는 '자율방범대원의 집' 1호점 개점
  1. 대전·충남 대통령선거 현수막 등 훼손 27건…경찰 비상대응 총력
  2. 고령화시대 통합돌봄 어떻게? "의료와 돌봄의 민간참여 중요"
  3. 무더위 날리는 음악분수
  4. 대전교육청 7월부터 5개 자치구에 유보통합 인력 파견
  5. 금강환경청, 홍수취약지구 지자체와 대비태세 점검 간담회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 특구 지정으로 우주, 바이오 산업 날개단다

대전시, 특구 지정으로 우주, 바이오 산업 날개단다

대전시가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제조 글로벌 혁신특구'와 '대전 우주기술 연구·활용 특구'로 각각 지정되며 바이오산업과 우주산업을 선도하는 새로운 중심지로 거듭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제15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를 열고 규제자유특구 3곳과 글로벌혁신 규제자유특구 3곳을 신규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 특정 지역에 일정 기간 규제 특례를 부여해 신기술·신산업을 실증하는 규제자유특구에는 대전과 울산, 전북이 뽑혔다. 대전은 우주 추진용 고압가스 부품의 기술기준 정립 및 시험·실증을 하는 '우주기술 연구·활용' 특구가 지정됐다. 특구는..

정치권 ‘부정선거 주장’ 영화 관람 윤석열 비판… 김문수는 ‘옹호’
정치권 ‘부정선거 주장’ 영화 관람 윤석열 비판… 김문수는 ‘옹호’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재판 중인 윤석열 전 대통령이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영화를 공개 관람한 것을 두고, 국민의힘을 비롯한 정치권이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국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계엄에 대한 반성·자중을 할 때 아닌가”라고 했고, 한동훈 전 대표는 “자멸하는 길”, 조경태 의원은 “뻔뻔하고 한심하다”고 성토한 반면, 김문수 후보는 ‘선관위 책임’으로 돌리며 윤 전 대통령을 옹호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윤 전 대통령과 국힘은) 여전히 일심동체”라고 비판했고, 조국혁신당과 개혁신당도 “국힘 내부에 친윤 인사들이 판을..

13년째 희망고문 `KTX 세종역`… 이제는 용도폐기되나
13년째 희망고문 'KTX 세종역'… 이제는 용도폐기되나

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고속철도 역사를 갖추고 있지 않은 세종특별자치시. 2012년 세종시 출범 이후 희망고문으로 남아 있던 'KTX 세종역' 설치가 완전히 물 건너가는 모양새다. 더불어민주당이 십수 년째 공약 의제로 선점하고, 국민의힘도 선거 때마다 단골 메뉴로 내놨으나 6.3 대선에선 슬그머니 종적을 감췄다. 양당의 세종시 전체 공약은 국민의힘이 5월 16일, 더불어민주당이 5월 19일 차례로 내놓으면서, 맞불 양상이다. 문제는 2012년 지방선거와 총선, 2014·2018·2022년 지방선거, 2016·2020·20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

  • 무더위 날리는 음악분수 무더위 날리는 음악분수

  • 축제 즐기는 학생들…‘로봇개 신기하네’ 축제 즐기는 학생들…‘로봇개 신기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