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톡] 두통, 신(神)이 내린 축복

[공감 톡] 두통, 신(神)이 내린 축복

  • 승인 2016-07-22 01:00
  • 김소영(태민)김소영(태민)
▲ 게티 이미지 뱅크
▲ 게티 이미지 뱅크


아침부터 가느다란 송곳으로 머릿속을 찔러대는 듯한 통증에 미간 사이에 주름이 그려졌다. 나는 가끔 심한 두통에 시달린다. 한번 나타나면 적어도 이틀은 꼼짝없이 누워 쉬어야 나아진다. 심한 두통이 속까지 건드려 식사도 제대로 할 수가 없다. 죽으로 겨우 끼니를 때워야 한다. 이때 가장 많이 애용하는 건 벌건 배추김치를 쫑쫑 썰어 묵은 밥을 넣고 잔멸치를 넣어 끓인 김치죽이다. 이것이 그렇게 속을 달래 줄 수가 없다. 예전에 임신을 했을 때 즐겨먹던 음식이기 때문이다.

엊그저께도 심한 두통에 시달리면서 도대체 이 두통은 왜 생겨서 나를 이리도 괴롭히나하고 화가 났다. 콕콕 쑤셔대던 통증은 눈으로까지 내려와 눈을 뜰 수가 없어졌다.

참을 수 없는 통증에 침대에 누워 두통을 분석하기 시작했다. ‘두통이 왜 생기는 걸까? 어떨 때 생기지?’

내가 너무 활동량이 많아서 잠이 부족하기 때문일까? 아니면 신경 쓰는 일이 많아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기 때문일까? 곰곰 생각해 보니, 이 두통은 나를 괴롭히기 위해 오는 고통이 아니었다.

그럼 왜?
오히려 나를 쉬게 하고 몸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오는 하나의 선물과 같은 것이라는 걸 깨닫게 된 것이다.

‘야, 너 좀 쉬어야 할 때야’ 하며 몸에서 주는 신호였던 것이다. 그래서 마음을 바꿨다. 그냥 아무생각 없이 쉬어 주기로…….

먹기 좋은 부드러운 음식을 골라 먹고 잠도 푹 자며 지냈다. 그랬더니 다른 때 보다 훨씬 빨리 회복이 되는 것이다. 그래, 나에게 오는 두통은 신이 내린 축복. 쉴 때 쉬라는 신호였던 것이다.

이솝 우화인 토끼와 거북의 경주에서 토끼는 달리다 말고 잠을 잤던 것이다. 경주에서 좀 뒤처지면 어떠랴? 건강이 최고인 것을. 옛날 우리 부모님들은 거북이처럼 쉬지 않고 일만했다.

토요일도 없었고 휴일도 없었다. 그 결과 평균 수명이 50을 좀 넘었다. 그러나 주 5일제가 생기고 일할 때 토끼처럼 열심히 일하고 쉴 때 푹 쉬는 요즈음 평균 수명이 80이지 않는가? 누군가는 의술이 발달해서 그렇다고 할지 모르나 쉬지 않고 일하고 신경쓰다보면 몸도 맘도 지치게 마련.

좀 다른 이야기지만 옛 이야기 한번 해보자.

어떤 나이 든 스승에게 항상 불평만 하는 제자가 있었다. 어느 날, 스승은 제자에게 소금을 사오라고 시켰다. 그리고는 제자에게 물이 든 잔에 소금을 한웅큼 넣고는 마셔 보라고 했다. 스승은 물었다. “맛이 어떠냐?”

제자는 침을 뱉으며 말했다. “짜다 못해 씁니다.”

스승은 제자에게 남은 소금을 맑은 호수에 넣으라고 했다. “자, 이제 호수의 물을 마셔보아라”

제자는 스승이 시키는 대로 했다.

“맛이 어떠냐?”
“아주 물맛이 좋습니다.”
“짠맛이 느껴지느냐?”
“아닙니다. 전혀 느껴지지 않습니다.” 스승은 제자의 손을 잡고 이렇게 말했다.

“인생의 고통은 이 소금처럼 양이 정해져 있느니라. 단지 고통을 받아들이는 마음의 크기에 따라 고통의 강도가 결정되지. 그러니 고통을 받아들이는 마음을 넓게 가져라. 잔(盞)이 아니라 호수만큼 크게 말이다.”

짠맛의 유무(有無)는 물이 담겨있는 그릇의 크기에 달려 있다. 우리 인간사도 그렇다. 거북이처럼 쉬지 않고 일만하면 몸에 무리가 와서 결국 병원신세를 지게 마련이다. 왜 우리 부모 세대는 쉬지 않고 노력만 하는 거북이를 본받자 하였을까? 토끼처럼 일 할 땐 하고 쉴 때 쉬는 현명함을 발견하지 못했을까?

나는 세상에서 신축성(伸縮性)이 큰 것은 호수나 바다가 아닌 바로 사람의 마음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면 마음이 바다처럼 넓어지게 되고, 마음이 바다처럼 넓어지게 되면 모든 불행과 시련이 몰아닥친다 해도 큰 파도를 불러일으키지는 못할 것이다.

어제 선물 받은 시집 속 자신의 통증을 큰 그릇에 담는 법을 알리는 시 하나를 발견했다.

하늘의 또 하나의 선물일까?

55병동 최송석
차단된 시간 위에 놓인 불꽃. / 간이역 같은 병동은
거치지 않아도 아쉬울 것이 없는 곳인데
세월이 번번이 육신을 끌고 들어와 / 속속들이 수색을 한다.
모진 것들이 속을 파고드는 통증 속에 / 존립의 존재는 소리 없이 진행되고 있지만
상황을 어찌 할 것인가는 거의 자율이 아니다.
- 하 략-


/김소영(태민) 시인

▲ 김소영 시인
▲ 김소영 시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건설건축자재협회 'AI 전문가 초청강연' 개최
  2. [기고]대형복합화력 증설 멈추고 재생에너지 확대에 주력을
  3. 대전대 펜싱팀, 대통령배 전국펜싱선수권대회 에뻬 단체전 3위
  4. 세종시의회 100회 임시회 "힘차게 나아갈 것"
  5. 충남대-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중국서 그린바이오 인재 교육
  1. 폐교 예정 대전 성천초 주민 편의 복합시설 추진 협약
  2. 대전시감염병관리지원단, 재가노인지원기관과 보건 업무협약
  3. 한밭대 RISE 사업단, 플라즈마 표면처리 국제자격증 합격자 4명 배출
  4. 이너사이드, 현대백화점 충청점서 '유얼거트' 팝업스토어 개최
  5. 전북은행 대학생 서포터즈 5기 해단식 진행

헤드라인 뉴스


투석환자 교통편의 제도정비 시급…지자체 무관심에 환자안전 사각

투석환자 교통편의 제도정비 시급…지자체 무관심에 환자안전 사각

<속보>20일 대전 한 병원에서 만난 조한영(49·가명)씨는 이틀에 한 번씩 인공신장실을 찾아 혈액 투석을 8년간 이어왔다. 월·수·금 오전 7시 병원에 도착해 4시간동안 투석을 받고 나면 체중은 많게는 3㎏까지 빠지고 어지럼증이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당뇨 합병증으로 콩팥이 먼저 나빠졌고, 오른쪽 눈은 실명했으며, 발에도 질환이 생겨 깁스처럼 발 전체를 감싸고 목발을 짚어서야 겨우 걸음을 뗀다. 투석은 생명을 지키는 일인데 집과 병원을 오가는 병원의 교통편의 제공마저 앞으로 중단되면 혼자서 투석을 이어갈 수 있을지 그는 심각하게..

[날씨] 12호 태풍 `링링` 영향…폭염·열대야 강화
[날씨] 12호 태풍 '링링' 영향…폭염·열대야 강화

주말인 23~24일 폭염과 열대야 현상이 강화됨에 따라 무더위가 이어질 가운데 내륙 곳곳에 국지적 소나기가 내릴 전망이다. 21일 기상청에 따르면 제12호 태풍 '링링'이 동북 동진 중이다. 태풍은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일본 남동쪽 해상 가장자리를 따라 규슈를 통과할 예정이다. 이번 주말(23~24일)은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결합해 한반도 고기압이 두터워지며 지금보다 온도가 1~2도 더 올라 폭염이 다소 강화된다. 또한, 내륙 중심에 5~40㎜의 국지적 소나기가 내리겠다. 특히 대전·세종·충남 전 지역에 폭염특보 발효에..

충남도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 요구… 정부 "추가 지급 결정"
충남도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 요구… 정부 "추가 지급 결정"

충남도가 지난달 기록적인 폭우에 따른 지원금을 정부에 지속 건의한 결과, 정부가 추가지원을 결정했다. 21일 도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폭우 피해 지원대책 기자회견에서 정부에 피해 지원금 현실화를 건의하겠다는 입장 발표를 시작으로, 정부부처의 현장점검 등에서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를 요청해 왔다. 김태흠 지사도 1일 열린 대통령 주재 제1차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분야별 지원금 현실화를 공식 건의한 바 있다. 당시 김 지사는 농업 분야와 관련해 정부의 지원기준인 복구비(대파대) 50%를 100%로 상향하고 농업시설 복구비도 기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드론테러를 막아라’ ‘드론테러를 막아라’

  •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