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복만땅] 홍익인간의 단군사상부터 '인내천' 동학사상까지

  • 문화
  • 오복만땅

[오복만땅] 홍익인간의 단군사상부터 '인내천' 동학사상까지

[원종문의 오복만땅] 119. 사상(思想)

  • 승인 2018-11-04 11:13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오복만땅컷최종
인간이 생활하면서 지니게 되는 가치관과 세계관을 총칭하여 사상(思想)이라 하며, 사상은 그 사람의 정신세계를 지배하고 정신은 곧 육체적인 행동에 영향을 주게 되어 오래전부터 인류는 사상을 바탕으로 사회를 지배하고 발전하여왔다.

사상은 철학사상으로, 종교사상으로, 정치사상으로, 사회사상으로, 교육사상으로, 경제사상으로, 문화사상으로 인간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우리민족의 고유한 사상은 단군사상이며 환인(桓因), 환웅(桓雄), 단군(檀君)의 삼신을 숭배하는 고대의 단군신앙은 불교(佛敎)나 유교(儒敎)나 도교(道敎)나 기독교(基督敎) 신앙을 수용하기 이전부터 우리민족에게 전해져온 민족 고유의 신앙이며 사상이었다.

단군의 사상과 이념은 홍익인간(弘益人間)이니 넓이 인간세계를 이롭게 하는 것이다.



경전(經典)으로는 천부경(天符經)과, 삼일신고(三一神誥), 참전경(參佺經) 이 있으며, 이러한 삼대 경전을 "삼화개천경(三化開天經)"이라고 한다.

천부경(天符經)은 환인시대의 구전이요, 삼일신고 는 환웅천황이 조술(祖述)한 것이며 참전경은 환인이 직접 366 사(事)를 다스린 기록으로 믿어져 오고 있다.

단군에 대한 이해는 종교적 차원이 아니라 우리민족의 뿌리인 국조(國祖)의 차원에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단군에 대한 역사와 사상은 우리 민족의 근본 뿌리의 역사와 사상이며, 겨레와 민족적 차원의 매우 중대한 일이다.

유구한 민족정통을 가진 정통적 잠재력은 매우 큰 것이며, 민족뿌리신앙의 생기(生氣)는 우리 민족정기의 사활(死活)과도 직결되는 중대한 문제인 것이다.

수천 년을 지나도록 여러 가지의 핍박과 외래문화의 격랑 속에서도 침식되지 않고 끈질기게 민족정신을 지켜온 생명력은 한민족 우리 모두의 뿌리이며 정통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곧 단군을 뿌리로 한 배달민족의 민족혼의 참 모습이요, 우리민족의 사상이며 우리 겨레의 혈맥과도 같기 때문이다.

우리민족의 개천삼화(開天三化)의 진리는 신인합일사상(神人合一思想)이며, 심물불이사상(心物不二事想)이다. 이는 기본경서인 3대 경전에 깊게 함축되어 있다.

인류세계문명의 역사가 신본주의(神本主義)와 인본주의(人本主義)의 갈등을 극복하지 못한데서 사상의 대립으로 수많은 전쟁과 비극을 초래하였으며, 유심론(唯心論)과 유물론(唯物論)으로 극한 대립을 해오는 비극이라면, 신인합일사상과 심물불이 사상을 원천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단군의 홍익인간 제세이화 사상은 21세기 태평양시대를 주도할 세계 최고의 사상이며, 우리민족의 숙원인 민족 통일국가의 민족통일 이념이고 민족통일 사상이다. 단군사상은 우리겨레와 민족의 혼(魂)인 것이다.

고대 중국으로부터 유교가 유입된 것은 서력 기원전 12세기경이라는 학설이 있는데 그 이유는 고대에 은나라가 멸망하자 기자(箕子)가 한국에 들어와 홍범구주(洪範九疇)와 정전법(井田法)등의 유교적인 국가 통치술을 펼쳤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유교의 시작을 기자에 두는 견해는 유학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기도 했으나 기자(箕子)가 우리나라에 들어왔었다는 확실한 증거가 없으며, 공자를 제외한 유교는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이런 학설은 점차 살아지게 되었다.

유교의 전래 시기는 서기전 3세기 또는 4세기경으로 볼 수 있으며 3세기에 공자의 말씀인 논어(論語)와 천자문이 들어왔고 4세기후반에는 태학(太學)이라는 고구려의 국립 교육기관이 설립되어 논어,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춘추, 사기, 한서, 후한서, 효경 등으로 유교사상이 넓이 보급되었다.

공자(孔子)의 사상을 뿌리로 하는 유교의 가르침은 존심양성(存心養性)이고 집중관일 집중관일(執中貫一)이니 정신을 집중하여 성품을 기르는 것이나 충(忠)과 서(恕)이다.

사단칠정에 동요되거나 치우침이 없이 마음이 중심을 지키고 인(仁)으로 용서함이다.

사서(史書)의 기록에 따르면 불교(佛敎)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서기 372년 고구려 소수림왕 때로 중국의 승려인 순도(順道)가 처음으로 고구려왕실에 불상을 가지고 왔다 한다, 그러나 그 이전부터 불교가 유입된 증거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초기의 한국불교는 왕실불교였으며 고구려와 백제와 신라로 전해져 갔다.

석가(釋迦)를 주축으로 하는 불교의 가르침은 명심견성(明心見性)이며, 만법귀일(萬法歸一)이니 마음을 밝게 하여 성품을 보며 만 가지 법이 결국 하나로 돌아감이다.

석가모니 부처의 핵심사상은 자비(慈悲)이며 불교사상이 우리나라에 끼친 영향은 참으로 지대하다, 특히 서산대사와 사명대사 등 승병들은 목숨 걸고 나라를 지켜내는 공로를 세우기도 하였으며 팔만대장경을 남겨 문화유산으로 전하고 있다.

선교(仙敎)는 수심연성(修心煉性)이며, 포원수일(抱元守一)이니 마음을 닦아서 성품을 연마하며 감응(感應)을 추구한다. 기독교는 세심이성(洗心移性)이며 묵도친일(默禱親一)이니 세례로 마음을 씻어 성품을 옮기며 기도로 하나의 유일신과 친함을 찾는다.

1860년 최제우에 의해 창시된 동학(東學)의 사상은 '내가 곧 하늘이다' 인내천사상(人乃天 思想)으로 사람이 곧 하늘인 인본중심 사람이 중심인 사상이다.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

원종문-명인철학관-원장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은 사단법인 한국작명가협회 부회장 겸 대전지부 지부장, 한국동양운명철학인협회 이사, 한국작명가협회 작명시험 출제위원장, 국제뇌교육대학원 성명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명리학 전문과정과 경희대 성명학 전문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이름 전문가'로 활동하며 '한국성명학 총론', '명학신서', '이름과 성공' 등의 저서를 발표했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여성경제인협 대전지회, 여성기업주간 맞이 디지털 역량 강화 '톡톡'
  2. 대전신세계, 무더위 피해 실내 공간 찾는 이들 위한 백캉스 쿠폰팩 선봬
  3. "서민 보양식은 옛말"... 대전 삼계탕 평균 1만 6400원까지 고공행진
  4. [현장취재]고 오기선(요셉) 신부 35주기 및 돌아가신 모든 사제를 위한 추모미사
  5.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1. [인터뷰]김정수 오기선요셉장학회 회장… "‘고아들의 아버지’ 오기선 요셉신부를 기리며"
  2.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3. 대전교육청 "여름철 물놀이 조심하세요~" 안전 캠페인
  4.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5.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헤드라인 뉴스


[기획 시리즈-①] 대전의 미래, 철도굴기로 열자

[기획 시리즈-①] 대전의 미래, 철도굴기로 열자

대전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본격적인 도시 성장을 시작했고, 이후 호남선 분기점으로서 교통의 중심지가 됐다. 하지만, 현재 한국 철도망은 고속철도의 등장과 함께 수도권 중심으로 고착화되고 있다. 서울역·수서역에서 출발한 열차는 대부분 경부고속선 또는 호남고속선을 따른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모멘텀이 필요하다. 대전도 마찬가지다. 충청권광역철도와 충청급행철도(CTX) 등 신속한 광역교통망 구축과 더불어 국가철도의 지역 연결성 강화로 재설정해 대전 성장 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 새 정부 국정과제 발굴과 5차 국가철도망 계획 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하면서 충청권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부품 수출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충남은 17개 시·도 중 2위의 수출실적을 자랑하고 있어 이번 상호관세로 전반적인 탄력이 기대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7월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한국은 미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8월 1일부터 25..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계룡건설산업(주)가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에서 대전지역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협회는 7월 31일 전국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시공능력평가' 결과 계룡건설산업이 전년 대비 2633억 원(9.7%) 증가한 2조9753억 원으로 5년 연속 2조 원을 돌파했다. 전국 순위도 두 계단 오른 15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주)금성백조주택이 3884억 원으로 2위(전국 75위), 파인건설(주)는 2247억 원으로 3위(전국 114위), 크로스건설(주)는 1112억 원으로 4위(전국 217위), (..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