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3년간 특허를 출원하고 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체 364개사를 대상으로 한 '중소기업 지식재산(IP) 활용 애로 조사' 결과, 중소기업 10곳 중 9곳(90.1%)은 지식재산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특허보유개수가 많을수록 지식재산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식재산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유로는 특허분쟁 예방 및 기술보호(88.7%)와 전시회·수출 등 해외판로 개척 시 필요(43.0%), 기술 수준 홍보 및 이미지 개선(39.9%) 등의 순으로 꼽았다.
특허보유 개수가 11개 이상기업 모두 특허분쟁 예방 및 기술보호를 위해 지식재산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지식재산 운용상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장시간의 특허심사 기간(33.8%)과 수수료 및 연차등록료 부담(31.3%) 순으로 높았다.
지식재산 활용 확대를 위해 지원사업으로는 지식재산 제반 비용에 대한 세액공제 지원(36.0%)과 지식재산 심사기간 단축(23.6%) 순으로 확인됐다.
특허보유개수 6~10개 기업은 세액공제지원(45.1%)을 다른 분류에 비해 많이 응답했다. 지식재산 전담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26.1%로 평균 2.8명, 겸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기업은 54.4%, 평균 2.2명으로 나타났다.
특허보유개수 11개 이상 기업은 전담인력을 46.2% 보유한 반면, 특허보유 개수가 적을수록 외부전문기관 위탁률이 높았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징벌적 손해배상제가 지난 9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중소기업의 지식재산에 대한 인식도 제고되어야 할 시점"이라며 "지식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인식만큼, 일반 중소기업 역시 지식재산의 중요성을 다시금 되새기고 경영전략의 한축으로 살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박전규 기자 jkpar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