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1일 세종시 전동면에서 개최된 개미고개 전투 추모제에 참석한 참전용사 노먼 매튜스(사진 왼쪽)씨와 찰스 프로나펠씨. |
"나무 한 그루 없던 들판에 폭파된 철도, 피말리던 전투의 기억 잊히지 않아"
11일 세종시 전동면 개미고개 전투 추모제를 찾은 미군 참전용사 노먼 매튜스(NORMAN P. MATHEWS·90)와 찰스 프로나펠(CHARLES FRONAPFEL·88) 씨는 그날의 기억을 이같이 설명했다.
이들 두 참전용사는 제24사단 제21연대에 복무 중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가장 먼저 한국에 파견된 미군 병력이다.
일본 주둔 중 한국으로 급파된 미군 21연대는 부산에 상륙 후 파죽지세로 남하하는 북한군에 예봉을 꺾는 최전방에 배치됐다.
노먼 매튜스 씨는 "부산에 상륙해서 전장까지 이동할 때 기찻길이 모두 폭파된 것을 보고 큰 전쟁이 벌어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라며 "아주 잔인한 전투였다"고 회상했다.
일본에 주둔 중이던 미군 24사단 21연대는 한국전쟁 9일만인 7월 4일 부산에 입국해 7일 대전에 도착했고, 스미스부대는 5일 경기도 오산 죽미령고개에서 북한군 4사단과 '미-북' 첫 전투를 치르고 대전까지 후퇴한 상태였다.
북한의 남하를 저지하고 후방에서 전투에 임할 시간을 벌기 위해 목젖과도 같은 연기군 전동면 개미고개는 적에게 내줄 수 없는 요충지였다.
전동면 서쪽 115무명고지에 1개 대대 180여 명의 병력이 자리 잡았고, 동쪽 225무명고지에 3대대 670여 명의 미군이 포진해 경부선 철도와 국도 1호선의 길목을 차단했다.
남침을 감행한 북한의 제4사단과 3사단을 이곳 개미고개 국도 1호선에서 차단해 적군의 남하를 지연시키는 게 미군 21연대의 임무였다.
7월 9일 오후부터 시작한 개미고개에서 미-북간 전투는 나흘간 전개됐고, 전차를 앞세운 북한군의 포위 선멸작전에 미군 428명이 전사하고 12일 금강 이남으로 후퇴했다.
파죽지세로 전진하던 북한군을 개미고개에 나흘간 붙잡아 둠으로써 후방 아군 부대가 금강과 대전방어선을 구축하는 시간을 확보했고, 훗날 전세를 뒤집는 계기가 된 승리한 전투로 평가된다.
찰스 프로나펠 씨는 전투 중 북한군에 포로로 잡혀 2년간 포로생활을 겪었으며, 800여 명의 미군 포로 중 생존해 귀환한 200명 중 한 명이다.
프로나펠 씨는 "지난 시간 풍경이 많이 바뀌어 어디서 전투를 했는지 구분할 수 없지만, 대한민국이 상당히 발전한 것에 자부심을 갖는다"라며 "추모제에 많은 시민들이 참석하고 저희를 초대해줘 감사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가족과 동행해 지난 9일 한국에 입국한 이들은 서울현충원과 세종 대통령기록관을 둘러봤으며, 서금택 세종시의회 의장과 저녁 만찬 후 13일 오전 미국으로 출국한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