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강하굿둑과 하굿둑 좌안에 설치된 뱀장어 전용어도 모습. |
어종자원 고갈에 직면한 국내 뱀장어의 복원과 내수면 양식산업 부활에도 의미 있는 연구결과로 풀이된다.
해양수산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지난해 6월 금강하굿둑 좌안에 실뱀장어 전용 어도를 국내 최초로 개설하고 올해 실뱀장어의 이동 여부를 관측했다.
뱀장어는 강과 바다가 섞인 기수역에 알을 낳고 6㎝ 남짓의 실뱀장어가 되었을 때 강으로 이동해 민물에서 성장해 다시 바다에서 산란하는 회유성 어종이다.
국내 내수면 전체 양식생산액 중 75%인 3051억 원을 뱀장어가 자치할 정도로 중요한 수산자원이나, 국내 강 하구가 하굿둑으로 막히면서 양식 실뱀장어의 74%는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금강하구는 전통적으로 뱀장어가 산란하고 치어의 실뱀장어가 성장해 부여와 강경까지 이동하는 길목이었으나 1990년 하굿둑이 건설되면서 뱀장어 씨가 말랐다.
금강하굿둑을 관리하는 한국농어촌공사는 해양수산부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하굿둑에 뱀장어가 이동할 수 있는 전용 어도를 지난해 6월 새롭게 만들었다.
치어 수준의 실뱀장어는 물살을 헤치며 역행할 힘이 없어 하굿둑 건설 시 함께 조성된 기존 어도에서는 실뱀장어의 이동이 관측되지 않았다.
![]() |
금강하굿둑 뱀장어 전용어도를 통해 금강으로 유입된 실뱀장어 모습.(사진=군산대 최윤 교수 제공) |
어도에 하둣둑 안쪽의 담수를 졸졸 내려보냄으로써 기수역 실뱀장어를 어도 쪽으로 유인했고, 일정한 유속을 유지한 결과 실뱀장어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난 6월 2일 길이 5.3㎝, 무게 0.13g의 실뱀장어가 어도를 통과해 금강호에 설치된 담수 수조에 유입됐고, 최장 10㎝ 무게 1g짜리 개체도 확인됐는데, 이같은 관측을 통해 6월 11개체, 7월 37개체, 8월 10개체 등 3~9월 사이 63개체가 금강으로 돌아왔다.
신설한 어도를 통해 참게 230여 마리와 수많은 망둥어도 서해에서 하둣둑을 통과해 금강으로 이동했다.
관측을 진행한 군산대 해양생명응용과학부 최윤 교수는 "관측된 실뱀장어가 매우 많은 개체는 아니지만, 약한 실뱀장어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신호"라고 설명했다.
한국농어촌공사 어촌수산개발처 관계자는 "서해가 적정 수위까지 내려갔을 때 담수를 흘려보내 실뱀장어의 이동을 촉진했고, 금강호에 염분피해도 없었다"라며 "하굿둑 하류에서 어민들의 남획행위를 줄인다면 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