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는 메타포(은유)다.' 라고 한다. 나의 마음 상태나 가치, 지혜를 어떤 대상에 빗대어 쉽게 표현하거나 낯설게 할 수도 있다.
가령 나의 시골살이를 민들레에 비유했다고 하자. 민들레는 토종민들레도 있고 물 건너 온 서양민들레도 있다. 토종은 자가수분을 하지 않지만, 서양민들레는 자가수분도 할 줄 알고, 토종 암술에 붙어 교잡을 시도하기도 한다. 토종과 서양민들레가 처음 교잡을 하면 유전자를 반반씩 갖는다. 다음 세대인 그 잡종에 또 서양민들레 꽃가루가 붙으면 이번엔 4분의 3이 서양민들레의 유전자다.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뽑아낸다고 미워하는 감정을 가진 시골분이 많다. 그분들은 토종민들레와 같다. 나이만 들어가고 더 이상 번식할 힘이 없다. 내 입장에서 보면 그분들과 섞이면서 자연스레 동화되어 가는 편이지만 나와 같은 서양민들레가 하나씩 늘어나면서 자리를 뺏고 있는지도 모른다. 시골 빈집이 있어도 그냥 두면 두었지 잘 내놓지 않는 이유에는 그분들의 불편한 감정이 섞여있다.
서양민들레는 토종과 자리다툼을 하기 보다는 자가수분이라는 독립성과 교잡이라는 어울림으로 점점 자기색채를 드러내면서 정착했다고 봐야한다.
도시민이 시골에 와서 가장 견디기 어려운 것이 텃세라고 한다. 경제적으로도 새롭게 기반을 닦아야 하는 힘든 나날들이 이어지는데, 여기에 지역민과 사소한 갈등으로 감정이 폭발한다면….
![]() |
물론 갈등이라는 것이 어디 시골 살이 뿐이겠는가. 조국 법무부장관 임명으로 진보와 보수가 서로 총만 안 들었지 싸울 기세가 등등하다. '보이콧 일본!'을 외치며 국가 간에도 갈등의 골이 깊어져만 간다.
어떤 이는 우리 사회를 갈등공화국이라고 빗댄다. 한 대기업 연구소 보고서를 보니 "1인당 국내총생산(GDP)의 27%를 사회적 갈등관리 비용으로 쓴다"고 한다. 그 비용은 연간 최대 246조원으로 모든 국민이 매년 900만원씩을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는데 쓰고 있다는 것이다.
갈등을 일으켜 전개를 증폭시키는 것은 드라마의 기법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실은 드라마처럼 갈등을 일으켜서는 결말을 장담하지 못한다. 갈등은 사전 예방하는 것이 훨씬 비용 면이나 결과 면에서 좋을 수 있다.
서양민들레는 자리다툼으로 갈등을 조장하지 않는다. 자가수분이라는 독립성도 있거니와 몇 세대를 두고 자기색깔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시골살이는 다투는 삶이 아니라 천천히 가는 삶이다. 다만 뒤로 가지는 않겠다는 마음가짐의 삶이기도 하다.
![]() |
by 김재석
비주얼한 꽃을 들녘에서 찾으신다구요. 꽃집 간판을 찾는 게 빨라요. 선택받는 꽃들은 언제나 꽃집 온실에서 자라고 있죠. 내 이름은 들꽃입니다. 한 때는 물 건너와 꽃집의 새색시 같았죠. 뭐, 사랑이 한결같기를 바란 건 아니지만 어쩌다 들꽃이 되었네요. 잊혀진 이름이 되었네요. 낯선 이곳에 내가 설 땅이 어디 있겠어요. 시멘트 바닥 한 톨 땅 빈자리라도 나길 바랐고, 돌담 모퉁이 양지 바른 곳에서 한 줌 온기를 느낄 때면 나는 꽃잎을 펴 내가…, 내가…, 나를 사랑하게 해 달라고 햇님에게 빌었죠. 저요 사랑에 목말라하는 헤픈, 헤픈 꽃 아니랍니다. 나는 누구와도 다툴 수 없었기에 빈(貧)자의 자리를 찾아갔죠. 그래도 나의 꽃씨들은 나를 닮지 않았나 봐요. 훨훨 날아가 더 넓은 들녘에서 누군가를 사귀고 사랑하고 자기를 반쯤 닮은 꽃을 낳고, 또 낳고 이렇게 들녘을 채운 들꽃이 되었답니다. 아직 비주얼을 찾으세요? 그럼 들녘으로 오세요. 천천히 느린 걸음으로 들꽃을 쓰다듬으며 걸어보세요.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