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만,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중국 경기가 전반적으로 침체하면서 점차 회복 기미를 보이는 국내 수출에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된다. 나아가 중국의 수출입 비중이 높은 대전·충남 수출기업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29일 정부와 지역 경제단체 등에 따르면 '우한 폐렴'으로 인해 중국 후베이성 우한을 중심으로 발생한 우한 폐렴으로 인해 현재 해당 지역으로의 수출길이 막히는 등 한국 수출이 직접적으로 타격을 받을 가능성은 적다.
정부에서도 우한 폐렴으로 인해 한국 수출이 받을 단기적, 직접적 영향은 작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앞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이 유행했을 때도 수출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우한 폐렴이 중국 전역으로 퍼지면서 중국 경기가 하향곡선을 그리게 된다면 한국 수출의 직접적인 피해가 우려된다.
한국 수출은 이르면 2월 중 상승 전환할 것으로 기대됐다. 이런 상황에서 우한 폐렴이라는 부정적인 돌발변수가 생긴다면 한국 수출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
김용태 한국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본부장은 "이번 사태가 단기간에 진화된다면 대전·충남을 비롯한 국내 수출 피해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지만, 만일 3개월 이상 장기화 된다면 국내는 물론, 수출·수입 비중이 높은 지역 기업들에도 적지 않은 피해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한 폐렴 확산이 실물 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점검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중국 내 확산이 중국 소비 및 생산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글로벌 경제, 우리 수출 등에 가져올 파급 효과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향후 전개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무역 관련 기관들도 우한과 인근 지역의 한국 기업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우선 코트라(KOTRA)는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각국 동향 및 바이어·투자가 움직임을 파악·전파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우한무역관을 비롯해 중국 내 무역관 직원과 현지 진출 기업인의 안전 현황을 점검하고, 차질이 우려되는 대중국 수출과 투자 유치 사업은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국무역협회는 청두지부가 영사관, 한국상회와 공동으로 협조체계를 구축해 현지 진출 한국 기업, 유학생 단체 채팅방 등을 통해 우한 폐렴 전염 상황과 예방수칙을 공유하고 있다. 박전규 기자 jkpar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