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130만명을 넘어서는 지구촌 확진자와 관련된 해외유입 확진자의 잠재적 폭발성에 주목해야 한다. 강력한 예방 조치를 더 지속해야 할 이유다. 그렇게 동참을 호소한 주말에 클럽은 불야성을 이루고 야외는 상춘객으로 붐볐다. 통계청과 SKT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 4월 초 이동량은 1353만 건까지 늘어 2월 초 1375만 건 수준에 거의 근접했다. 코로나19 '잔불' 정리 시간이 아닌데 참 걱정스럽다.
고위험 사업장 지정도 그 외 사업장의 완화를 의미하는 건 아니다. 업종과 분야, 지역에 무관하게 코로나 안전거리를 준수하지 않으면 어디든 고위험 장소가 된다. 사태 초기에 방심했다가 확진자가 폭증한 사실을 늘 기억해야 한다. 온 인류가 팬데믹 상황에서 7만 명이 사망한 가운데 처절한 사투를 벌이는 중이다. 46일 만에 50명 아래로 내려간 국내도 여전히 감염병 위기경보 '심각' 단계다.
수도권 집중 발생도 큰 변수다. 그런데 서울에서만 지난 주말 현장예배를 시행한 교회가 1914곳이나 됐다. '코로나 쓰나미', '티핑 포인트', '감염 폭발' 등은 그저 경각심이나 주자고 만든 말은 아니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19일까지 연장한 배경에는 긴장 해이에 따른 감염 확산 우려가 크게 작용했다. 유럽·미국과 같은 폭발적인 지역사회 감염을 피하려면 일단 이 기간을 성공적으로 보내야 한다. 그다음 단계인 '생활방역'은 아직 멀었다는 느낌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