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송역 철도교통관제센터 신설과 강호축(江湖軸·충청강원호남) 개발 등에 따른 미래 우리나라 철도의 중심축도 충청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은 '철도의 날' 유치 명분에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
올해 126주년을 맞는 '2020년 철도의 날 기념식'은 6월 26일 서울 구로구 쉐라톤 서울 디큐브시티에서 국토교통부와 코레일, 한국철도시설공단, SR 등 철도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지난해와 2년 전 행사도 서울에서 개최된 바 있다. 그동안 서울과 수도권 등지에서 열려 왔지만 철도의 중심축 이동 등 여건 변화에 따라 내년엔 충청권 개최의 명분이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 철도 정책을 입안하는 국토교통부가 세종시에 자리잡고 있다. 코레일과 한국철도시설공단 본사는 대전에 있다. 한국 철도의 심장과 같은 3개 기관이 모두 충청권에 있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철도 분야에서 인적 물적 철도 인프라의 충청 우위를 보여 주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다.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이어주는 경부고속철과 호남고속철 분기역은 충북 청주의 오송역이다. 대전역은 경부선 및 호남선 등 국철이 영호남으로 분기되는 곳이다.
우리나라 철도 업계 미래 성장 가능성을 따져봐도 충청의 위상은 높다. 전국의 열차 운행을 관리하는 '철도교통관제센터'가 청주 오송 조성이 확정됐다. 오송 관제센터는 국비 3000억원을 들여 오송 시설장비사무소 안 북쪽 3만2000㎡에 2만㎡ 규모로 조성된다. 전국의 열차 운행을 관리하는 중앙교통운영관제실과 철도·차량·역사 전력 공급실, 통신장치 시스템 등이 구축될 예정이다. 관제센터가 설치되면 충청 오송은 국가 철도망으로서의 위상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새로운 국가 개발 축으로 뜨고 있는 강호축 벨트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강호축은 경부축과 X축을 형성하며 강원도와 충청도 호남을 잇는 것으로 정부와 충북도는 충북선 고속화 등을 통해 이에 대한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동해선 연결사업을 재추진 하는 등 남북 철도연결 사업도 '철도의 날' 충청권 유치의 당위성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현재 충청은 서해안복선전철(충남 홍성~경기 화성 송산 90.01km)과 장항선 복선전철(충남 아산~전북 익산 118.6km)을 건설 중이다. 두 철도망이 완성되면 남북경협 사업의 일환으로 경의선 연결이 본격화되는 시점에 충청권의 대북 또는 대륙 진출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철도의 날'가 행사가 우리나라의 철도 과거와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철도인 등 종사자들을 격려하는 자리라는 의미에서 본다면 현재는 물론 미래의 인적 및 물적 인프라가 탄탄한 충청권에서 열리는 것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철도 업계는 신중한 입장이다. 철도 업계 관계자는 "큰 변수가 없다면 올해는 예정된 대로 서울에서 진행될 계획"이라며 "내년 계획은 아직 얘기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