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콜라보레이션 사유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콜라보레이션 사유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20-05-2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시작(詩作)을 비롯한 글짓기 공부 모임을 여럿 안다. 모임을 주도하는 작가에 따라 방식은 약간씩 다르다. 원로 시인이 주관하는 모임에 수년간 참여한 적이 있다. 신작이나 신간 도서 중심으로 스크랩한 자료를 나누어 주고 강의가 시작된다. 소개된 내용의 토론에 이어, 각자가 준비해온 작품에 대한 합평회를 하는 순으로 두 시간 동안 진행한다. 산 아래 첫 건물이라 위치도 좋고, 각종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어서 모임 하기에 아주 좋은 곳이다. 전시장도 있어 가끔 이런저런 전시회도 열린다. 하루는 미술 전시회가 열리는 데 먼저 보았는지 관람하기를 권한다. 추상화 계열이 주인 전시다. 미술작품을 통하여 현대 예술의 흐름을 느껴보란 의도 아니었을까?

예술은 각 분야나 장르가 이합집산을 거듭한다. 흩어지기도 하고 때로는 모이기도 한다. 따라서 추구하는 바가 크게 다르지 않다. 방법이나 도구, 이용 소재(素材)가 다를 뿐 각기 아름다움을 궁구하기는 마찬가지다.

SNS가 보편화 되면서 협업(collaboration)이 눈길을 끈다. 본래 마케팅 기법의 하나로 시작된 모양이다. 다른 업종, 기업 간 공동작업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물질과 이미지, 물질과 물질, 이미지와 이미지가 통폐합되기도 한다. 예술계에도 콜라보레이션 바람이 분다. 다른 분야나 다른 장르의 예술가가 공동작업으로 새로운 아름다움과 감동을 선사한다. 공동작업이 아니라도 작가는 충분히 고뇌한다. 그러나 콜라보레이션으로 보다 그 영역이 넓혀지고 깊이가 더해짐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어떤 제재로 주제를 표현하는 것이 좋을까? 신변잡기에서부터 인류, 우주 삼라만상의 진리에 이르기까지 선택의 문제이지 선악은 없다. 다만, 보다 넓은 안목과 철학, 역사 인식이 함께하면 좋지 않을까? 예술에는 작가의 혼이 담긴다. 자신의 이상을 투영하고자 한다. 그러면서 감상자와의 소통과 심상에도 할애한다. 그런 연유로 작품은 인간 정신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새롭게 규명되어 부각 되었을 뿐, 인간사에 늘 있어 온 일이다. 동양에서는 시화일치(詩畵一致)라 하여 시와 그림이 하나라는 견해도 있었다. 시화일률(詩畵一律)을 동아시아 회화의 핵심개념 중 하나로 보기도 한다. 중국 당대(唐代) 서화론가 장언원(張彦遠)은 『역대명화기(歷代名?記)』 1권 에서 "글과 그림은 각자 다른 이름을 지녔지만 공통된 근원을 가진다." 했다. 소동파로 우리에게 더 잘 알려진 중국 송대 종합 예술가 소식(蘇軾)이 중국 당대(唐代) 시인이며 문인화가인 왕유(王維)의 시와 그림을 평하여 "글 가운데 그림이 있고, 그림 가운데 시가 있다."라고 했다 한다. "시와 그림은 본래 한 가지 이치(詩書畵本一律)"라 하며, "시로 모두 표현할 수 없으면 그것이 넘쳐 서예가 되고, 그것이 변해 그림이 된다(詩不能盡, 溢而爲書, 變而爲畵)"라고도 했다. 곽희(郭熙)의 아들 곽사(郭思)의 『임천고치(林泉高致)』에도 나타난다. "시는 형상이 없는 그림이고 그림은 형상이 있는 시다(詩是無形?,?是有形詩)."

동양에서만 그러한 것은 아니다. 그리스 시인 시모니데스(Simonides von Keos, BC556 ~ BC468?)의 "시는 말하는 그림이고, 그림은 말 없는 시다."를 비롯, 이탈리아 서정시인 호라티우스는(Quintus Horatius Flaccus, BC65 ~ BC8)는 "시는 회화와 같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물론 서로 우월성을 따지거나 경쟁적 관점으로 보는 견해도 많이 있다.

동양 그림에서는 그러한 관계를 형상화하려는 시도가 많았다. 못지않게 그림을 시로 쓴 경우도 많다. 각 분야나 장르가 갖는 표현의 한계에 따라 상호보완적이라 보기도 한다. 전하는 수많은 작품이, 시가 그림 소재로, 그림이 시의 소재로 적극적으로 활용된 것을 대변한다. 시가 그림의 소재로 사용된 것이 시의도(詩意圖)이며, 특히 산수인물화에 많이 나타난다. 산수인물화에는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다. 때로는 진리나 도가 담기기도, 등장인물이나 작가의 철학이 담기기도 한다. 때문에, 쉽게 다가갈 수 있으나, 형상 없는 추상화 못지않게 감상이 어렵다.

감상이 문제가 아니다. 화가는 그림으로 말하면 된다. 시인은 시로서 말하면 된다. 중언부언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 화석화된 고정관념이 문제였다. 작가 의식도 살필 필요가 있다. 예술은 박제화된 박물관 유품이 아니다. 물론, 어떻게든 자신의 고유 소통 수단으로 이상을 추구하려는 노력도 소중하다. 그러나 열린 사고가 소통 수단을 더욱 풍요롭게 한다는 것은 명약관화해 보인다. 이미 다양한 통폐합이 진행되어왔다. 매체 간 넘나들기(Ekphrasis)도 있다. 연상법, 수달법도 유사하면서 관계가 있다. 끊임없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반응하고 그러한 반응이 인상으로 남아 영역과 토대가 넓어지기 때문이다. 그를 통하여 자신이 확장되고 확산되는 것이다.

자기 일에 몰두하다 보면 관념의 벽에 갇히게 된다. 요즘 같은 물리적 거리 두기에 문득, 염려되는 바가 크다. 다른 분야를 통한 작품구상은 물론, 익숙함에서 이탈하기, 뒤집거나 다른 각도로 보기, 색안경 같은 이물질로 투영해 보기, 낯설어지기를 끊임없이 시도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한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논란의 금속보호대 대전교도소 1년간 122회 사용… 기록누락 등 부실도
  2. 이철수 폴리텍 이사장, 대전캠퍼스서 ‘청춘 특강’… 학생 요청으로 성사
  3. 고교학점제 취지 역행…충청권 고교 사교육업체 상담 받기 위해 고액 지불
  4.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치매안심센터 찾아 봉사활동
  1.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
  2. 세종 BRT예정지 미리알고 땅 매입한 행복청 공무원 "사회적 신뢰 훼손"
  3. "치매, 조기진단과 적극적 치료를" 충남대병원 건강강좌
  4. 새 정부 교육 국정과제 '시민교육 강화' 대전교육 취약 분야 강화 기대
  5. [세종 다문화] 군사 퍼레이드와 역사 행사, 다문화 가정이 느끼는 이중적 의미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5년간 11조 투입해 서해안 수소벨트 구축

충남도 5년간 11조 투입해 서해안 수소벨트 구축

충남도가 석탄화력발전소 밀집 지역인 서해안 일원에 친환경 수소산업 벨트를 구축한다. 도는 수소 생산부터 저장, 활용까지 국내 최대 수소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글로벌 수소 허브로 탈바꿈시킨다는 목표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서산 베니키아호텔에서 열린 '제7회 수소에너지 국제포럼'에서 19개 기관·단체·대학·기업과 업무협약을 맺고, 서해안 수소산업 벨트 구축 본격 추진을 선언했다. 이날 포럼에는 김 지사와 제프 로빈슨 주한 호주 대사, 니쉬 칸트 씽 주한 인도 대리 대사, 예스퍼 쿠누센 주한 덴마크 에너지 참사관 등 500여 명이 참석..

불꽃야구, 한밭야구장에서 직관 경기 열린다
불꽃야구, 한밭야구장에서 직관 경기 열린다

리얼 야구 예능 '불꽃야구'가 대전 한밭야구장(대전 FIGHTERS PARK)에서 21일 오후 5시 직관 경기를 갖는다. 18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한밭야구장을 불꽃야구 촬영·경기 공간으로 활용하기로 한 협약 이후 시민에게 개방되는 첫 무대다. '불꽃야구'는 레전드 선수들이 꾸린 '불꽃 파이터즈'와 전국 최강 고교야구팀의 맞대결이라는 예능·스포츠 융합 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다. 21일 경기는 수원 유신고와 경기를 갖는다. 유신고는 2025년 황금사자기 준우승, 봉황대기 4강에 오른 강호로, 현역 못지않은 전직 프로선수들과의..

추석 앞두고 대전 전통시장 찾은 충청권 경제단체장들 "지역경제 숨통 틔운다"
추석 앞두고 대전 전통시장 찾은 충청권 경제단체장들 "지역경제 숨통 틔운다"

충청권 경제 단체들이 추석을 앞두고 대전지역 전통시장을 찾았다. 내수 침체로 활력을 잃은 지역경제에 숨통을 틔우기 위한 캠페인을 위해서다. 특히 이번 캠페인에는 이상천 대전세종중소벤처기업청장이 취임 직후 첫 공식일정으로 민생현장을 찾아 눈길을 끌었다. 대전세종충남경제단체협의회(회장 정태희)는 지난 17일 오전 대전 서구 한민시장에서 '지역경제 활성화 캠페인'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이상천 중기청장을 비롯해 정태희 회장(대전상의 회장), 김석규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장, 송현옥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대전지회장, 김왕환 한국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 2025 적십자 희망나눔 바자회 2025 적십자 희망나눔 바자회

  • 방사능 유출 가정 화랑훈련 방사능 유출 가정 화랑훈련

  •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