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콜라보레이션 사유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콜라보레이션 사유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20-05-2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시작(詩作)을 비롯한 글짓기 공부 모임을 여럿 안다. 모임을 주도하는 작가에 따라 방식은 약간씩 다르다. 원로 시인이 주관하는 모임에 수년간 참여한 적이 있다. 신작이나 신간 도서 중심으로 스크랩한 자료를 나누어 주고 강의가 시작된다. 소개된 내용의 토론에 이어, 각자가 준비해온 작품에 대한 합평회를 하는 순으로 두 시간 동안 진행한다. 산 아래 첫 건물이라 위치도 좋고, 각종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어서 모임 하기에 아주 좋은 곳이다. 전시장도 있어 가끔 이런저런 전시회도 열린다. 하루는 미술 전시회가 열리는 데 먼저 보았는지 관람하기를 권한다. 추상화 계열이 주인 전시다. 미술작품을 통하여 현대 예술의 흐름을 느껴보란 의도 아니었을까?

예술은 각 분야나 장르가 이합집산을 거듭한다. 흩어지기도 하고 때로는 모이기도 한다. 따라서 추구하는 바가 크게 다르지 않다. 방법이나 도구, 이용 소재(素材)가 다를 뿐 각기 아름다움을 궁구하기는 마찬가지다.

SNS가 보편화 되면서 협업(collaboration)이 눈길을 끈다. 본래 마케팅 기법의 하나로 시작된 모양이다. 다른 업종, 기업 간 공동작업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물질과 이미지, 물질과 물질, 이미지와 이미지가 통폐합되기도 한다. 예술계에도 콜라보레이션 바람이 분다. 다른 분야나 다른 장르의 예술가가 공동작업으로 새로운 아름다움과 감동을 선사한다. 공동작업이 아니라도 작가는 충분히 고뇌한다. 그러나 콜라보레이션으로 보다 그 영역이 넓혀지고 깊이가 더해짐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어떤 제재로 주제를 표현하는 것이 좋을까? 신변잡기에서부터 인류, 우주 삼라만상의 진리에 이르기까지 선택의 문제이지 선악은 없다. 다만, 보다 넓은 안목과 철학, 역사 인식이 함께하면 좋지 않을까? 예술에는 작가의 혼이 담긴다. 자신의 이상을 투영하고자 한다. 그러면서 감상자와의 소통과 심상에도 할애한다. 그런 연유로 작품은 인간 정신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새롭게 규명되어 부각 되었을 뿐, 인간사에 늘 있어 온 일이다. 동양에서는 시화일치(詩畵一致)라 하여 시와 그림이 하나라는 견해도 있었다. 시화일률(詩畵一律)을 동아시아 회화의 핵심개념 중 하나로 보기도 한다. 중국 당대(唐代) 서화론가 장언원(張彦遠)은 『역대명화기(歷代名?記)』 1권 에서 "글과 그림은 각자 다른 이름을 지녔지만 공통된 근원을 가진다." 했다. 소동파로 우리에게 더 잘 알려진 중국 송대 종합 예술가 소식(蘇軾)이 중국 당대(唐代) 시인이며 문인화가인 왕유(王維)의 시와 그림을 평하여 "글 가운데 그림이 있고, 그림 가운데 시가 있다."라고 했다 한다. "시와 그림은 본래 한 가지 이치(詩書畵本一律)"라 하며, "시로 모두 표현할 수 없으면 그것이 넘쳐 서예가 되고, 그것이 변해 그림이 된다(詩不能盡, 溢而爲書, 變而爲畵)"라고도 했다. 곽희(郭熙)의 아들 곽사(郭思)의 『임천고치(林泉高致)』에도 나타난다. "시는 형상이 없는 그림이고 그림은 형상이 있는 시다(詩是無形?,?是有形詩)."

동양에서만 그러한 것은 아니다. 그리스 시인 시모니데스(Simonides von Keos, BC556 ~ BC468?)의 "시는 말하는 그림이고, 그림은 말 없는 시다."를 비롯, 이탈리아 서정시인 호라티우스는(Quintus Horatius Flaccus, BC65 ~ BC8)는 "시는 회화와 같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물론 서로 우월성을 따지거나 경쟁적 관점으로 보는 견해도 많이 있다.

동양 그림에서는 그러한 관계를 형상화하려는 시도가 많았다. 못지않게 그림을 시로 쓴 경우도 많다. 각 분야나 장르가 갖는 표현의 한계에 따라 상호보완적이라 보기도 한다. 전하는 수많은 작품이, 시가 그림 소재로, 그림이 시의 소재로 적극적으로 활용된 것을 대변한다. 시가 그림의 소재로 사용된 것이 시의도(詩意圖)이며, 특히 산수인물화에 많이 나타난다. 산수인물화에는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다. 때로는 진리나 도가 담기기도, 등장인물이나 작가의 철학이 담기기도 한다. 때문에, 쉽게 다가갈 수 있으나, 형상 없는 추상화 못지않게 감상이 어렵다.

감상이 문제가 아니다. 화가는 그림으로 말하면 된다. 시인은 시로서 말하면 된다. 중언부언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 화석화된 고정관념이 문제였다. 작가 의식도 살필 필요가 있다. 예술은 박제화된 박물관 유품이 아니다. 물론, 어떻게든 자신의 고유 소통 수단으로 이상을 추구하려는 노력도 소중하다. 그러나 열린 사고가 소통 수단을 더욱 풍요롭게 한다는 것은 명약관화해 보인다. 이미 다양한 통폐합이 진행되어왔다. 매체 간 넘나들기(Ekphrasis)도 있다. 연상법, 수달법도 유사하면서 관계가 있다. 끊임없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반응하고 그러한 반응이 인상으로 남아 영역과 토대가 넓어지기 때문이다. 그를 통하여 자신이 확장되고 확산되는 것이다.

자기 일에 몰두하다 보면 관념의 벽에 갇히게 된다. 요즘 같은 물리적 거리 두기에 문득, 염려되는 바가 크다. 다른 분야를 통한 작품구상은 물론, 익숙함에서 이탈하기, 뒤집거나 다른 각도로 보기, 색안경 같은 이물질로 투영해 보기, 낯설어지기를 끊임없이 시도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한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INS 기밀 유출 있었나… 보안문서 수만 건 다운로드 정황에 수사 의뢰
  2. 수도권 뒤덮은 러브버그…충청권도 확산될까?
  3. [춘하추동]새로운 시작을 향해, 반전하는 생활 습관
  4.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5. [대전다문화] 열대과일의 나라 태국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두리안을 즐기기 전 알아야 할 주의사항
  1.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2. 3대 특검에 검사 줄줄이 파견 지역 민생사건 '적체'…대전·천안검찰 4명 공백
  3. [대전다문화]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
  4. 한국영상대 학생들, 웹툰·웹소설 마케팅 현장에 뛰어들다
  5. aT,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 위해 총력 대응

헤드라인 뉴스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상대책위원회와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가 상가 정상 운영을 위한 대전시민 1000여 명의 서명을 받아 대전시에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고 나섰다. 비대위는 경쟁 입찰 당시 상인 대부분이 삶의 터전을 잃을까 기존보다 많게는 300% 인상된 가격으로 낙찰을 받았는데, 높은 조회수를 통해 조바심을 낼 수밖에 없도록 조작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와 대전참여연대는 2일 대전시청 북문에서 '지속 가능한 중앙로 지하상가 운영을 위한 시민참여 공청회 청구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에서 입찰을 강행한 결과 여..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해수부 전체 직원의 86%, 20대 이하 직원 31명 중 30명이 반대하고, 이전 강행 시 48%가 다른 부처나 공공기관으로 이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최민호 세종시장이 7월 2일부터 예고한 '해수부 이전 철회' 1인 시위에 돌입했다. 이날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수부 정문 앞에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옳지 않은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란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거리로 나섰다. 해수부 이전 철회를 촉구하는 입장을 정부부처 공무원을 넘어 시민들과 함께 나누기 위한 발걸음이다. 그가 해수부 이전에 반대하는 입장은 '지역 이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