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TRI 연구진이 개발한 아바타 수어 영상 번역 워크플로우 개념. ETRI 제공 |
시·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아바타 수어가 개발돼 눈길을 끈다.
코로나19 확진자 발생과 안전 수칙 등 긴급재난안내가 수시로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사각지대에 놓인 시·청각 장애인을 위해 국내 연구진이 아바타 수어를 개발했다. 안내 사항을 음성으로 읽어 주고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수어 영상 제공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정부의 코로나19 생활방역 지침을 딥러닝 기술로 합성한 음성과 그래픽을 활용한 수어 애니메이션을 3일 공개했다.
ETRI는 정보 접근에 취약한 시·청각 장애인들이 코로나19 대응에 소외되지 않도록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작했다. 청각장애인을 위해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수어로 지침을 안내하고 시각장애인을 위해 관련 문자메시지를 합성음으로 읽어 준다.
연구진이 만든 영상에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발표한 코로나19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칙과 개인이 지켜야 할 5가지 수칙별 행동 요령을 농식 수어로 표현하고 자막을 음성으로 변환·합성한 내용이 담겨 있다. 긴급재난안내문자 내용을 연구진이 개발한 딥러닝 번역 엔진을 통해 한국어 문장을 수어 원고(Script)로 바꾸고 이를 다시 수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는 방식이다.
ETRI는 ▲한국어를 한국수어로 자동으로 번역하는 '한국수어방송' 기술 ▲자막을 감정 표현이 가능하도록 학습된 음성으로 읽어주는 '상황해설방송' 기술 ▲감정표현과 음향효과를 인식해 표현이 더욱 다채로운 자막을 만드는 '감정표현 자막방송' 기술을 연구하면서 중간 결과물로 이번 영상을 제작했다.
㈜이큐포올과 공동으로 제작한 수어 애니메이션 영상은 한국농아인협회의 감수를 거쳐 차례로 연구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우선 공개하고 점차 배포처를 확대할 예정이다.
한국농아인협회원 조희경 씨는 "청각장애인으로서 수어 방송이 많아졌지만 실시간으로 벌어지는 뉴스 소식은 알 수가 없어 답답했다"며 "시·청각 장애인들도 중요한 정보로부터 소외받지 않고 스스로 대응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연구진의 기술이 빨리 보급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ETRI 김흥묵 미디어연구본부장은 "스마트 미디어 기술을 활용해 기존 방송 콘텐츠뿐 아니라 생활 및 재난 정보에 접근을 도와 장애인의 안전과 정보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데 작은 도움이 되면 좋겠다"고 전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국가의 신가치 창출, 산업경쟁력 강화, 신시장 개척 등의 국가의 국력신장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됐으며 정보통신을 포함한 광범위한 디지털 혁신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