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라이프]맹물의 미학(美學)

  • 사람들
  • 뉴스

[실버라이프]맹물의 미학(美學)

  • 승인 2020-07-08 16:01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noname01
바람도 새들도 나무숲도 깊이 잠들어 있는 시간입니다.

사방의 안팎은 어둡고 고요한 정적만 감돌고 나의 숨소리까지 감지되는 내 침실의 순수한 고요는 5경(04시)이 절정입니다.



이 시간엔 부지런했던 어제의 풀잎도, 꽃잎까지도 아침이슬 채비도 하지 않고 고단한 잠을 자고 있으니 삼라만사가 이보다 더한 정적과 고요함이 있으랴.

나는 이 고요와 정적을 깨뜨릴까봐 숨소리까지 낮추고 일어나 한잔의 맹물을 마십니다.



그 한잔의 맹물이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구석구석 실핏줄까지 골고루 퍼져 온몸으로 순환하여 내 부자유한 심신을 회복시키는 듯 마음이 가벼워집니다.

내가 나의 몸을 스스로 일으켜 세우고 한잔의 소소한 맹물을 들어올려 이렇게 마신다는 것에 감사함을 느낍니다. 팔다리를 거동 못했을 때를 되돌아 보면 기적이나 다름없지요. 이렇게 고요와 정적의 절정의 시각에 나의 일상이 시작되곤 한답니다.

얼마전에 같은 시내에 거주하시는 신용협 교수(필명 신협.시인)님과 만나 유성온천 노천탕에 발을 담그고 이야기 나누다가 때가 되어 해장국 한그릇씩 비우고 나무그늘 벤치에 앉아 좌담하면서 반나절을 보냈답니다.

'물은 달지 않아서 좋다/ 물은 맵거나 시지 않아서 좋다/ 물가에 한 백 년 살면/ 나는 맹물이 될 수 있을까//'

원로시인 신용협 교수의 '맹물'이라는 시(詩)인데 4행의 짧은 톤으로 물맛의 경험을 통해 물의 성(性)을 중도(中道)로 이끌어 내어 시인의 중도주의를 단숨에 치고 올라서니 가히 노자의 도(道)를 넘나들어 무릎을 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불교에서는 무상(無常)이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일체만물이 끝없이 변하고 한순간도 정지하지 않고 변한다는 불교의 교리로 모든 현상은 인연으로 모이고 흩어지기 마련인데 인연에 집착하지 않고 있음과 없음, 높고 낮음과 크고 작은 것과,많고 적은것, 모두를 초월하여 무상의 의미로 수용하고 있음에 불교는 유신론(有神論)도 아니고 무신론(無神論)도 아닌 중도론(中道論)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도란 거문고 줄을 조정하는 것과 같아서 줄을 너무 팽팽하게 줄여도 소리가 나지 않고 너무 느슨하게 풀어도 소리가 나지않기 때문에 적당히 조정한 상태라야 제 소리를 낸다고 합니다.

이 상태를 '중도'라고 하는데 이러한 성질을 갖춰진 최상의 것이 '물'이라고 합니다.

노자는 상선약수(上善若水)에서 물과 같이 중도를 깨닫고 살아야 한다면서 물은 온갖 것을 이롭게 하면서 다투지 않고 가장 낮은 곳에서 머물면서 다투지 않아 허물이 없으니 최고의 중도라고 했지요

'우물이 깊을수록/두레박의 끈은 길다/' 이하 생략

'서둘러 두레박을 내리지만/ 끈이 긴 두레박의 물은/ 쉽게 내 입술에 닿지 않는다/'

구재기 시인의 '목마르다'의 시의 일부입니다.

친한 친구이면서 동료시인인 구재기 시인의 대표적인 구도주의적(救道主義的) 시 한편을 읽으면서 맹물에 대한 가치와 소중함과 도(道)를 음미하면서 천천히 한잔의 물을 마십니다.

노수빈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1.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2.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3.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4.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5.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