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신재생에너지 보급 국가공모사업 선정지역 위치도. <대전시 제공> |
태양광,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 국가공모사업에 대전 4개 지역이 선정돼 보급사업에 탄력을 받게 됐다.
대전시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1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국가 공모사업인 융복합지원사업에 모두 4개 지역(동구, 대덕구, 서구, 중구)이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대전시에 따르면 국가공모사업인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신재생에너지원간 융합과 주택·상업·공공시설을 복합한 사업계획을 한국에너지공단의 공개평가와 현장평가로 선정한다.
선정된 4개 사업은 △동구 산내동 지역 △대덕구 북부 및 남부지역 △서구 가수원, 관저동 지역 △중구 문창동, 석교동 지역의 총 1058곳에 태양광 972곳(4725㎾), 태양열 86곳(901㎡)을 설치한다.
여기에는 총사업비 106억 원(국비52억9000만 원, 지방비40만6000만 원, 자부담12억7000만 원)이 투입되며, 7월 중 한국에너지공단의 현장평가 후 사업비를 확정한 뒤 2021년 추진될 예정이다.
그 동안 대전시는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에 신청해 2018년에는 동구 대청동과 서구 기성동 2개 지역에 태양광 296곳, 지열 24곳을 설치했다.
올해에는 서구 도마동, 정림동, 변동, 대덕구 중리동, 회덕동, 신탄진동에 태양광 624곳, 태양열 65곳, 연료전지 1곳을 설치 중이다.
융복합사업이 완료된 동구 대청동의 오리골마을과 서구 기성동의 증촌꽃마을, 무궁화용사촌의 3개 마을이 한국에너지공단이 인정하는 '에너지자립마을 자율인증제도' 인증을 받기도 했다. 에너지자립마을 자율인증제란 20가구 이상이 소재하는 행정구역의 총 에너지사용량 대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기준으로 에너지자립률을 계량 평가하여 인증해 주는 제도다.
정대환 시 기반산업과장은 "지역별 특성에 맞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해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고 친환경 에너지 전환정책을 추진해 시민이 보다 살기 좋은 대전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합쳐 부르는 말이다.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해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해 이용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재생에너지는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등이 있으며, 신에너지는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이 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