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지방교정청 분류센터 소속 교도관이 심리백신 프로그램의 취지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사진=대전교정청 제공) |
이번 시책은 살인과 강도, 성폭력 등의 수형자가 자기 개선을 위한 동기를 만들고 심리적 내성을 갖도록 해 향후 재범 위험으로부터 스스로 방어하는 심리적 치료 노력이다.
법무부는 교정본부 산하 서울, 대전, 광주 이상 3개 지방교정청에 전담 분류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이들 고위험군 수형자들은 분류센터에서 6주간 머물며 동기백신, 개선백신, 희망백신 3단계로 12회기 심리치료를 받는다.
특히, 각 분류센터는 모든 소속 직원이 임상심리사 등 전문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거나 분류심사 업무에 장기간 종사한 전문가로 구성돼 있다.
재범 위험성이 높은 특정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정밀 분류심사와 심리평가를 통해 재범 방지와 사회 안전 방위에 기여해 왔다.
서보균 대전지방교정청 분류센터장은 "심리백신 프로그램은 강력 범죄로부터 국민이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고위험군 수형자들의 출소 후 재범방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