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성CC 조성 제안자(박정희 전 대통령)와 이를 완성한 강민구 유성CC 명예회장이 1979년 쯤(추정) 어느 행사장에서 만났다.아이러니하게도 박 전 대통령은 유성골프장에서 라운딩은 하지 않았다. 왜 그랬을까? |
출발은 1968년 휴양차 유성온천을 방문한 박정희 전 대통령의 '뜬금포' 제안에서 비롯됐다.
유성온천과 계룡산국립공원이 있는 유성을 국제적 휴양지로 만들려면 번듯한 골프장이 있어야 한다는 아이디어가 만찬 자리에서 나온 것이다. 유성CC를 '복합 레저타운'으로 만들라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뜻'에 따라 골프장 내 옥녀봉 자락에 대전 최초의 야외 수영장인 '유성컨트리클럽 수영장'도 같이 만들어진다.
만찬에는 김윤환 충남지사(제13대,1967.10.1~1971.6.12)와 충남 최대 기업가(군납업체)인 유봉선 한국특수금속 사장 등 지역 유지들이 참석했다.
박 전 대통령의 권유를 수용한 유 사장은 이듬해인 1969년 충남도 임업시험장(약 116만㎡)을 매입하며 '충청도 1호 골프장' 조성 공사에 나선다.
코스 내에 울창한 소나무가 즐비한 것도 이 자리가 임업시험장이었기 때문이다.
여름엔 덥지 않게 겨울에는 추위를 덜 느끼고 골프를 칠 수 있게 해주는 것도 소나무 덕이라는 게 차만석 대전골프협회장의 설명이다.
유 사장은 '유성흥업공사'를 세워 그해 12월 31일 유성골프장 및 호텔을 계룡산 국립공원 계획에 반영시켰다.
1970년 9월 14일 건설교통부가 아웃코스 9개 홀의 사업 승인을 내 준 것이 '유성컨트리클럽'의 출발점이다.
개장 초기에는 1일 내장객이 20~30명에 그쳐 상당한 경영 애로를 겪어야 했다. 설상가상으로 특수금속 내 송사 문제가 겹쳐 유 사장은 심한 자금 압박을 받았다. 결국 모기업인 특수금속과 함께 유성CC는 부도가 났다.
인수자가 없어 충남도의 고민이 크던 차에 강 명예회장이 1974년 부임한 서정화 충남지사(17대, 1974.9.2~1976.1.12)에 지붕 개량 사업을 부탁하느라 대전에 있던 충남도청을 방문했다.
그 자리에서 '운명'과 같은 제안을 받는다. 서 지사는 유성골프장 인수의 적격자로 강 명예회장을 '지목'한 것이다. 서 지사는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의 장인이다. 두 사람은 내무부 선후배(총무과장) 사이로 격의가 없었다.
지붕개량 사업 제안은 다음에 얘기하자고 한 뒤, 서 지사는 강 명예회장의 소맷자락을 잡고 난데없이 유성골프장으로 향한다.
당시만 해도 유성은 대전시가 아닌 충남도 대덕군 유성읍 덕명리 시절의 '촌동네'였다. 그는 "골프는 시기상조"라는 말로 선을 그었다.
그러나 부인인 김정희 여사가 판을 바꿨다. 김 여사가 남편과 상의 없이 이듬해인 1975년 제일은행이 실시한 경매에 단독 참여해 유성골프장을 낙찰받았다.
경락가격은 3억 7500만 원이었고, 대금을 5년간 무이자로 분할상환하는 조건이었다. 부인의 결정에 '질책'을 했지만, 이미 주사위는 던져진 만큼 강 명예회장은 활로를 찾기 위해 백방으로 뛰었다.
2년여간 '주인'이 없어 잡초만 무성한 골프장에 앞날이 캄캄했지만 그에게는 그 순간이 위기이자 '기회'였다.
우선, 그간 몸을 담고 있던 한국건업(현 벽산건설)·한국슬레트(현 벽산)의 대주주인 김인득 회장과 친분이 깊었던 에스콰이어 이인표 회장을 찾아가 도움을 요청했다. 김 회장과 이 회장은 각각 33.3%의 주식 투자를 해줘 초기 운영자금을 해결할 수 있었다.
마침내 1975년 7월 21일 유성골프장을 공식 인수한 뒤 같은 해 10월 25일 골프장 등록에 이어 11월 5일 '유성관광주식회사' 법인이 설립됐다.
강은모 유성CC 대표는 "골프장 주변 정비 등을 마치고 18홀 규모의 골프장이 이듬해인 1976년 9월 19일 공식 오픈해 오늘날의 유성컨트리클럽이 됐다"고 말했다. 오주영 기자 ojy8355@
![]() |
1975년 11월 5일 '유성관광주식회사' 법인으로 유성 CC는 새롭게 출발한다. 8번 홀에 있는 개장 기념식수. 법인 설립 후 1년여의 공사 후 이듬해인 1976년 9월 19일 정규홀(18홀)을 갖춘 현재의 유성CC가 탄생하게 됐다.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