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태정 대전시장은 29일 오후 5층 대회의실에서 시정브리핑을 통해 대전도시공사가 유성복합터미널을 건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허 시장은 이날 "그동안 민간사업자 재공모, 공영개발 등 여러 대안을 놓고 다각적으로 검토했다"면서"여러 경로를 통해 민간사업자들의 의사를 타진했으나, 사업 참여 의지가 없는 것으로 파악돼 공영개발로 방향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15년에 걸쳐 네 차례나 민자공모 방식을 추진했지만, 번번이 무산되면서 안정적인 사업추진이 가능한 공영개발 방식을 꺼내 들었다.
도시공사가 터미널 건립 주체로 결정된 만큼, 대전도시공사는 곧바로 '터미널 건축기본계획 용역'에 착수할 예정이다.
앞서 허 시장은 지난 22일 국정감사에서도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개발 방식을 묻는 국민의힘 이명수 의원의 질문에 "유성복합터미널 건립사업은 도시공사가 맡아서 진행할 것"이라고 답한 바 있다.
시는 도시공사는 4차 민간사업자인 ㈜케이피아이에이치(KPIH)와의 협약 해지 이후 국내 주요 건설사와 유통사, 금융기관 등을 대상으로 사업 참여 의사를 타진했지만, 코로나19, 부동산 경기 변화 등 시장 상황 악화로 시장 반응이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다른 사업방식인 민관합동 개발 방식 역시 민간사업자의 참여가 전제돼야 하는데, 사업성 부족을 이유로, 참여를 희망하는 민간사업자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으로 시와 도시공사는 사업여건 개선을 위해 층수제한 완화 및 허용용도 확대 등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국토교통부와 긴밀히 협의한다는 계획이다.
허 시장은 "시는 국토부에 층수제한을 기존 10층에서 20층 이상으로 확대하고, 건축용도도 공동주택을 허용하는 내용을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부 건립계획은 도시공사가 발주예정인 터미널 건축 기본계획 용역결과와 개선된 사업여건 등을 반영해 내년 상반기 중 확정·발표될 예정이다.
현재 운영 중인 유성시외버스 정류소는 유성복합터미널 건립·준공까지 약 5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내년 상반기까지 터미널 건립 부지 내로 우선 이전한다. 새로 이전할 유성시외버스 정류소는 부지 약 2800㎡, 연면적 약 600㎡ 규모로 건립될 예정으로, 매점, 식당, 휴게시설 등 이용객의 편의를 위한 각종 부대시설과 편익시설들이 들어설 예정이다.
사업 규모나 재원 마련 등 공영개발에 따른 우려에 대해 허 시장은 "민자사업은 판매시설 비중이 컸다. 현재 조건이나 환경을 개선하고, 공적기능을 확대하는 등을 통해 규모가 더 커질 수도 있다"면서 "당장 토지대금 600억 비용에 대한 도시공사 부담이 있는 등 재정적 부담이 있지만, 흑자 사업으로 끌고 갈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