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0일 태안군, 서산시, 태안해경은 서산 베니키아 호텔에서 '가로림만 및 해양보호구역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관계기관 공동협력 협약식'을 가졌다. 사진은 협약식 모습. |
태안군과 서산시·태안해양경찰서가 가로림만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군에 따르면 지난 20일 서산 베니키아 호텔에서 최군노 태안부군수를 비롯해, 맹정호 서산시장, 윤태연 태안해양경찰서장 등이 참가한 가운데 '가로림만 및 해양보호구역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관계기관 공동협력 협약식'을 가졌다.
이번 협약식은 가로림만과 해양보호구역의 생태계 보전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동 협력을 위해 ▲가로림만 해양정원 조성 및 국가사업화 협력 ▲가로림만 등 서해 중부권 해양보호생물 구조·불법포획단속 등 인프라 구축 및 전문 인력의 양성 및 해양안전, 구조, 환경, 치안유지 등 협력방안 증진 ▲가로림만과 관련된 각 기관의 우호 증진 및 홍보, 전시, 교육 등 각 기관이 합의한 사업에 필요한 협력사업·행사 공동개최 등에 협력한다.
또 세 기관은 협력분야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실무협의회를 구성·운영할 방침이다.
최군노 부군수는 "가로림만의 생물다양성을 지켜가는 가운데 해양환경·문화관광을 연계해 지역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지속가능한 성장모델을 만들어가야 한다"며 "사람과 자연이 함께 공존·공영할 수 있는 가로림만의 발전 방안을 찾기 위해 이 자리에 모인 기관과 함께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협약식이 끝난 후 태안군, 서산시, 충남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계자 및 관련 전문가들이 모인 가운데 '가로림만 해양정원 정책 포럼'이 열려 '미래 해양생태자원 가로림만'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한편, 가로림만은 서해안에서 유일하게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호리병 모양의 만으로 서산시에 위치하고 있다. 만 인근에는 4개의 섬이 있는데 팔봉면에 속한 고파도, 대산읍의 웅도, 지곡면에 소속된 우도와 분점도가 있다.
가로림만은 정부 조사에서 2005년 생태계가 잘 보존돼있는 갯벌, 2007년 환경가치 평가에서도 1위에 오르는 등 '생태계 보고'다.
가장 유명한 섬으로는 고파도가 있다. 이곳에는 구동항이 있는데 930년대부터 인천 간 정기여객선이 운항된, 역사가 매우 깊은 항로다. 여객선 운항으로 서산과 태안지방이 외부와 연결되고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게 됐다.
구도항은 인천과 서울로 연결하는 관문 역할을 했던 곳이다. 서산과 태안읍 곳곳을 연결하고, 멀리 인천으로 여객선이 출항하여 항상 분주한 곳이었다. 지금은 육상 교통의 눈부신 발달로 고파도 항로만 가진 채 침잠해있다.
태안=김준환 기자 kjh41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