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선거전은 내년 대선으로 가는 전초전이기 때문에 여야가 사활을 걸고 승리를 벼르고 있다. 경제, 부동산 등 다양한 이슈에서 공약 대결이 불가피하다. 특히 과밀화된 서울에 대한 해법에 대해서도 치열한 논쟁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후보 간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선거판은 올바른 정책대결보다는 표를 의식한 소 지역주의 이슈가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이 추진 중인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 등 행정수도 완성도 서울시장 선거판을 뜨겁게 달굴 화약고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권이나 진보정당 측 후보들은 균형발전 전략을 지속시키겠다며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이라는 큰 그림과 결을 같이 하고 있다. 특히 상임위 이전을 통한 세종의사당 설치와 서울은 금융 허브 도시로 육성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의 힘 등 보수 야권에서는 충청 민심을 자극할 우려에서 아직은 특별한 입장을 피력하지 않고 있다.
역대 선거를 돌이켜 보면, 정당별 후보가 정해지고 선거전이 치열해질 경우엔 후보들 간 난타전이 펼쳐질 수밖에 없다. 만의 하나라도 정쟁의 소용돌이에서 국가균형발전이나, 백년대계, 미래성장 동력의 기반이 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행정수도 완성이라는 대의가 상처를 입지 않아야 한다. 국민들은 더 이상 소지역주의를 겨냥한 정략적 이슈 파이팅에 속지 않아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