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주제의 벽화 등 볼거리
빨간풍차, 자물쇠로 추억 쌓기
시내 한눈에 볼 수 있는 카페도
끝이 보이지 않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에 코로나 블루는 이제 낯선 단어가 아니다.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 맞춰 떠나선 국내 여행도, 설레는 마음으로 비행기에 몸을 실어 나간 해외여행도, 삶의 고단함 속에 즐겼던 취미 생활도 희망사항이 된 지 오래다. 그래도 우리는 살아내야 한다. 일상의 기쁨과 행복을 포기할 순 없다. 모두를 응원하는 간절한 마음으로 3명의 기자가 일상 속 대전의 즐길거리, 볼거리를 찾아 더해본다. <편집자 주>
|
대동하늘공원에서 바라본 야경. |
이야기가 있는 벽화골목=대동 하늘공원은 한국전쟁 때 피난민이 모여 만들어진 곳으로 대전의 유일한 달동네다. 성냥갑처럼 붙어있는 낮은 주택들과 굽이굽이 올라가야 하는 골목길은 이색적인 관광명소가 됐다. 지하철을 타고 하늘공원 인근의 대동역에서 내렸다. 역사를 나와 한 골목만 들어가니 아기자기한 주택가가 눈앞에 펼쳐졌다. 더위를 조금이라도 피해 보겠단 요량으로 늦은 오후에 찾아갔음에도 쨍쨍한 햇살이 목덜미를 덥혔다. 그늘 한 점 없는 골목길을 따라 걸음을 옮겼지만 벽화는 쉽게 보이지 않았다.
|
대동 하늘공원 올라가는길에 있는 마을의 벽화 모습. |
15분쯤 걸었을까 이마에 땀이 송골송골 맺힐 때쯤 벽화가 하나둘 보였다. 생각보다 멋진 그림에 놀랐다. 다른 지역의 유명한 벽화마을을 방문했을 때 페인트가 벗겨져 있거나 조악한 그림에 실망한 경험이 있다. 대동 벽화마을은 그림의 주제부터 마음에 들었다. 추억의 애니메이션 주인공부터 마을지도, 명화, 시화, 호국보훈까지 다양한 그림에 찾아보는 즐거움이 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벽에 균열이 심해 붕괴가 되지 않을까 하는 곳이 있다는 거다. 벽에 가까이 서거나 기대어 사진을 찍을 수도 있는 장소인 만큼 안전사고 우려가 없도록 관리됐으면 한다.
|
파이브퍼센트 카페의 통창으로 바라본 대전 모습. |
더위에 찾은 카페, 그리고 임시휴업=벽화를 구경하다 보면 개성 있는 카페가 많다. 별빛이 흐르는 카페, 하늘공원카페, 파이브퍼센트, 대동단결, 포구 등이 눈에 들어온다. 이미 SNS 속에서 유명한 카페들이라 평균 이상일 것이라는 기대로 파이브퍼센트와 포구를 방문했다. 먼저 파이브퍼센트는 내부에서 통창으로 보는 전경에 감탄이 나온다. 한 층 더 올라가면 액자 같은 포토존도 있다. 계단형식의 자리에 불편하지 않을까 했는데 방석과 등받이 쿠션이 푹신해 편안했다. 다음에 방문한 포구는 서까래가 있는 곳으로 한옥이 떠올랐다. 지문 하나 없는 깨끗한 창이 포인트며, 미니멀한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두 곳 모두 내부가 깔끔하고 멋진 풍경을 볼 수 있다. 카메라를 들어 대충 찍어도 '감성' 사진이 나왔다. 유명 방송에 나온 곳도 있어 찾았지만 '코로나 거리두기로 인하여 월요일부터 쉬어 갑니다'라는 작은 메모가 커다란 대문에 붙어있었다. 대전의 유명 관광지도 코로나를 피할 순 없었다. 카페에 1시간가량 머물렀지만, 문을 열고 들어오는 손님은 한 팀에 불과했다.
|
대동하늘공원에 있는 빨간 풍차 모습. |
하늘공원의 감성=올라오며 흘렸던 땀을 카페에서 식히고 나와 조금 걸으니 '하늘공원을 가는 길'이라는 계단이 보였다. 좁은 길 끝, 멀리 반가운 빨간 풍차가 보였다. 한눈에 담지 못할 대전 시내가 펼쳐졌고 노을 지는 하늘은 감성을 자극했다. 이 공원이 왜 하늘공원인지 실감했다. 빨간풍차 내부는 비어있었지만, 추억은 가득했다. 많은 방문객이 방명록처럼 이름을 남겼다. 풍차 옆엔 펜스를 대충 구부려 만들어 놓은 것 같은 하트 조형물과 자물쇠가 빽빽하게 채워져 있다.
어스름이 내려앉고 하늘공원에서 내려왔다. 팔과 다리는 모기들이 포식한 흔적이 가득했지만 오랜만에 느끼는 충만함에 흔적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그래도 모기 기피제를 뿌리고 가는 것을 권한다. 많은 볼거리에 비해 동네는 조용했고, 코로나 시국에 맞는 여행지가 아닐까 싶다. 숨 가쁜 일상 속 기분전환이 필요하다면 대동하늘 공원을 추천한다. 방문하고 싶은 카페가 있다면 미리 영업을 확인해야 한다. 하루빨리 모든 상점이 문을 열고 북적이는 관광객들의 이야기로 하늘공원이 채워질 날을 기다린다.
이재운 기자 ljwo_o383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