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in 충청] 피해액만 3조2000억원… 지능화되는 ‘보이스피싱’

  • 사회/교육
  • 사건/사고

[데이터 in 충청] 피해액만 3조2000억원… 지능화되는 ‘보이스피싱’

올해 7월까지만 대전 141억 피해
2012년 27억에서 5배 이상 늘어
눈 뜨고 당하는 대면편취 수법 유행
'그놈 메시지' 메신저 피싱도 주의

  • 승인 2021-10-30 10:28
  • 수정 2021-10-30 10:56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20211027010005361_1
'보이스피싱' 범죄의 특징은 누구나 당할 수 있다는 점이다. 남녀노소, 직업 불문 전화가 걸려오면 일단 위험에 노출된다. 누가 속아 넘어가냐고 비웃지만, 지난 10년간 누적된 피해액만 3조가 넘는다.

경찰과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실에 따르면 2012년부터 올 7월까지 누적된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3조2333억원에 달한다. 2012년 595억원에 불과하던 피해액은 지난해 7000억원까지 불어났다.

그래픽=보이스피싱(피해액)
그래픽=한세화 기자
지역별로 살펴보면 같은 기간 대전은 27억원에서 207억원, 충남은 25억원에서 243억원, 충북은 18억원에서 238억원으로 늘었다. 올해 발생한 피해액(7월 기준)도 대전 141억원, 세종 11억원, 충남 196억원, 충북 237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누적 피해액은 대전 1004억원, 세종 49억원, 충남 1134억원, 충북 922억원이다.

발생 건수가 많다 해서 무조건 피해액이 높진 않았다. 올해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충남(892건)이 충북(768건)보다 많았지만, 피해액은 충북(237억원)이 충남(196억원)보다 컸다.



경찰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범죄 특성상 건마다 피해액이 각기 다르다"며 "상대적으로 소액을 노리는 일당이 있는가 하면 처음부터 고액을 노리고 한탕 해보려는 조직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래픽=보이스피싱(발생검거건수)
그래픽=한세화 기자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일정한 추세를 보이지 않고, 매년 제각각이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적게는 200여 건, 많게는 700여 건 정도가 발생했다. 2017년부턴 점점 늘어 대전과 충남은 2019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때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대전 1434건, 충남 1281건이었다. 충북은 지난해 가장 많은 1058건이 발생했다.

올 7월까진 대전 604건, 세종 37건, 충남 892건, 충북 768건을 기록 중이다. 초기 소수 일당이 모여 저지르던 보이스피싱은 갈수록 전문화·조직화 됐다. 중국에 사업장을 차려놓고 보이스피싱을 전문으로 하는 조직까지 등장했다. 지난 8월엔 4억여 원의 피해를 끼친 보이스피싱 총책이 대전지검 수사 과정에서 구속기소 됐다.

금융·사법 당국의 강경 대응과 시민들의 학습효과에도 피해가 줄지 않는 이유는 간단하다. 규제를 가할수록 보이스피싱도 지능적으로 진화하기 때문이다. 최근 유행하는 방식은 대출사기·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이다. 저금리 대출을 미끼로 보이스피싱범이 피해자를 직접 만나 현금을 가로채는 수법이다.

대면편취 방식은 2019년 3200여 건에서 지난해 1만5000여 건으로 5배나 증가했다. "기존 대출금을 상환하면 저금리로 대출을 해주겠다"는 거짓말에 넘어가는 순간 피해자가 되고 만다.

대면편취는 피해 구제도 받기 어렵다.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은 자신의 계좌에서 돈을 다른 계좌로 이체했을 때만 적용된다. 직접 만나 돈을 주는 대면편취는 해당 되지 않는 허점이 있다.

카카오톡 등 메신저를 활용한 메신저 피싱도 크게 늘었다.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해 금융정보를 요구하고, 원격조종 앱을 설치하게끔 해 휴대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방식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메신저 피싱 피해액은 466억원에 이른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존 보이스피싱이 검찰, 경찰 등 기관 사칭을 주로 했다면 이젠 가족, 친구 등 지인 사칭으로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며 "번거롭더라도 의심쩍으면 반드시 전화통화로 본인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기 위해선 '나는 당하지 않을 것'이란 자만에서 벗어나는 게 우선이다. 최근 보이스피싱은 조직화 된 역할 분담으로 서민들의 빈틈을 노리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어떤 명목이든 휴대폰에 앱을 설치하라거나, 여러 가지 핑계로 돈을 요구한다면 100% 보이스피싱"이라며 "또 보이스피싱이 갈수록 대범해지고 지능화되는 만큼 경계하는 자세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화이글스의 도전이 끝나는 순간! 마지막 육성응원 최강한화 1
  2. 대전의 가을밤을 뜨겁게 달군 과학관 응원단장! 한화팬-대전시민여러분께 1
  3. 대전사랑메세나,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이 함께한 '더 노은로 작은음악회' 성료
  4. 샛별재가노인복지센터, 가을나들이 행사 진행
  5.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1.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2.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3.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4. 한기대 RISE사업단, '2025 산학연협력 EXPO' 참가
  5. 조원휘 대전시의장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신속 추진해야”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