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보기] 새가 한쪽 날개로만 날 수 있을까?

  • 오피니언
  • 세상보기

[세상보기] 새가 한쪽 날개로만 날 수 있을까?

이창화 대전을지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승인 2021-12-09 10:52
  • 신문게재 2021-12-10 19면
  • 김성현 기자김성현 기자
2021090201000191300003511
이창화 교수
국회의장 자문기구인 국회국민통합위원회에서 지난 3월에 국회도서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문가 18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응답자의 89%는 한국사회는 분열과 갈등이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2018년에 영국의 BBC에서는 27개 국가의 관용지수를 조사했다. 질문은 '당신은 사회적 배경, 문화, 사고방식이 다른 사람을 얼마나 관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였다. 관용지수는 캐나다가 74%로 가장 높았고 조사대상 나라들의 평균은 46%였다. 우리나라는 매우 낮은 20%였으며 27개국 중에 26위였다.

조사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는 현재 극심한 분열과 갈등을 겪고 있다. 젊은이들은 나이 많은 사람을 '틀딱'이라고 부르면서 비하를 일삼고 있고, 나이 많은 사람들은 젊은이들을 '아무것도 모르는 철부지'라고 비난하고 있다. 워마드나 일베 등의 인터넷 사이트에서는 남성은 여성을, 또 여성은 남성을 혐오하고 비난하는 글들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좌파는 우파를 적폐세력으로 규정해서 이 세상에서 제거해야 할 악한 집단으로 여기고 있고, 우파는 좌파를 종북세력이라면서 여러 험담을 서슴없이 하고 있다. 경영진과 노조 간의 분열과 갈등은 더이상 언급할 필요도 없다. 심지어 신성하게 여겨졌었던 선생님과 학생들의 관계에서도 이러한 분열과 갈등이 심해지고 있다. 집단 간의 분열과 갈등은 어느 사회에서든지 있을 수는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그 정도가 너무 심하다는 것이 문제이며, 더욱 큰 문제는 BBC의 조사에서 보듯이 상대 집단을 전혀 받아들이지 못하고 배격하며 나아가서는 상대 집단을 제거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다. 상대 집단이 모두 사라지면 우리 집단이 원하는 좋은 세상이 올 것인가? 그렇지 않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모든 철학적, 심리학적, 사회적 담론에서, 어떤 사회가 건전하고 생명력을 가진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서로 반대되는 집단이 반드시 있어야 하고 서로 수용하며 융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고 있다. 사서삼경 중에서 철학적으로 가장 심오하다고 일컫는 주역의 핵심사상 중 하나가 '음양설'이다. '음양설'에서는 우주의 삼라만상이 발생 되고 생명을 얻으며 변화되기 위해서는 서로 반대가 되는 '음'과 '양'이 모두 반드시 있어야 하고, 서로 의존하며 보완적인 힘을 발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과 더불어 서구의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철학이론 중 하나인 헤겔의 변증법에서도 비슷하게 말하고 있다. 변증법의 핵심개념은 '정반합(正反合)'이다. 정(正, 테제)과 반(反, 안티테제)는 서로 모순이 되는 관계이다. 어떤 진리에 도달하거나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과 '반'이라는 모순되는 관계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 둘이 서로 융화해서 '합(合, 진테제)에 이르게 되고 이것이 변화와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는 것이다. 프로이드와 더불어 심층심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인 융(Jung)은 '집단무의식'이라는 개념을 말하면서 서로 특성이 반대가 되는 아니마(anima, 여성적 특성)와 아니무스(animus, 남성적 특성)가 있다고 했다. 원숙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반대 특성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남자는 아니마라는 여성적 특성을, 그리고 여자는 아니무스라고 하는 남성적 특성을 더욱 발달시켜서 두 특성이 한 사람의 심리 속에서 서로 융화되어야만 한다고 한다.

이렇듯 한 개인이나 사회가 건전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내 자신이나 내가 속한 집단과 반대되는 개인이나 집단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있어야만 하는 것이며 그 개인이나 집단과 잘 융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반대되는 개인이나 집단이 사라진다면 내 자신이나 내가 속한 집단도 쇠락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다. 새가 힘차게 하늘을 날기 위해서는 한쪽 날개만 있어서는 안 된다. 반대쪽 날개가 반드시 있어야만 하고 두 날개가 서로 조화롭게 움직여야 푸른 하늘을 자유롭게 날 수 있는 것이다.



이창화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2.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5.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1.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4.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5.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