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테미리서치프로젝트 <아직, 여기 오래된 스파링> 퍼포먼스 공연 중. 허은선 작가 제공. |
허은선 작가는 미술 퍼포먼스로 묶은 감정을 표현한다. 양파를 까는 동작을 반복하거나('양파 때문에 우는 거야', 2016) 목욕탕 먼지를 청소하는('기억 얼룩 지우기', 2017) 등 이색적인 시도를 한다. 특히 여성 관객들이 허 작가의 일상적인 몸짓에 공감하고 눈물을 흘린다.
"행위 예술은 관객과 같은 시간과 같은 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는 매력이 있어요." 대중적이지 않은 장르지만 관객과 직접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 퍼포먼스의 매력이다. 현장에서 일어나는 돌발상황도 재밌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허 작가는 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했다. 평면적 그림에서 영상, 사진에서 행위 예술까지 다양한 예술 활동을 아울렀다.
그의 작업은 일상적 주제에서 출발한다. 2016년 작품인 '양파 때문에 우는 거야'는 카레를 만들기 위해 양파를 손질하다가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 전까진 울고 싶어도 못 울었던 것 같아요. 양파를 까다가 눈물이 나왔는데 저도 모르게 펑펑 울었어요. 감정을 해소할 수 있는 계기였죠." 이 작품은 양파라는 사물에 숨어서 울고 싶은 진짜 이유를 숨기면서 눈물을 흘린다.
![]() |
'떠다니는 맛' 허은선 개인전 퍼포먼스 필름 영상 설치 전경. 허은선작가 제공. |
![]() |
판 아시아 퍼포먼스 페스티벌 '솜' 퍼포먼스 중. 허은선 작가 제공. |
올해 12월까지 이응노 미술관에서 문화가 있는 날마다 김안선 작가와 '쌍선 청춘 상담소'를 운영한다. 5월에 움직임 명상 워크숍에 이어 매달 워크샵과 강연 등 청년들의 고민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허 작가는 "이색적 행위를 통해 위로를 전하고, 앞으로도 몸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