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덕섭 고창군수가 지난 2일 동학농민혁명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고창군 제공 |
군은 지난 2일 오전 군청 2층 상황실에서 '고창 동학농민혁명 비지정 문화재 향토문화유산 지정을 위한 학술조사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보고회에는 심덕섭 고창군수, 진윤식 (사)고창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이사장, 이병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 부장을 포함한 군청 관계자와 주민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중간보고회는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바다 교수가 동학농민혁명 3대 지도자인 손화중이 동학을 포교했던 성송면 괴치도소·양실거소와 부안면 피체지, 동학 농민혁명군의 숙영지로 알려진 공음면 여시뫼봉 등에 대한 조사성과와 향후 계획에 대해 보고했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사적으로 지정된 무장 기포지와 전라북도기념물로 지정된 전봉준 생가터뿐만 아니라 손화중 도소·거소·피체지·여시뫼봉 등도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돼 동학농민혁명 성지 위상을 전국적으로 홍보하는데 탄력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진윤식 이사장은 "이번 학술조사를 통해 손화중 유적에 대한 역사적 재조명과 함께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체계적인 유적지 관리로 이어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손화중은 지금의 고창군 성송면 괴치리에서 동학을 포교했다.지난 1892년 8월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비기 탈취사건이 소문나면서 손화중은 동학의 대접주로 성장했다. 손화중은 전봉준과 함께 음력 1894년 3월 20일 무장기포를 주도하는 등 동학 농민 혁명사에서 큰 영향력을 끼친 인물이다.
고창=전경열 기자 jgy36712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