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71-3·1문예를 아시나요] 중도일보 문예 당선 여고생 소설가 삶 '나침반'

[창간71-3·1문예를 아시나요] 중도일보 문예 당선 여고생 소설가 삶 '나침반'

1955년 중도일보 문예대회 현상모집 당선
대전사범 방학숙제 쓴 '단념' 인생 전환점
동아일보 심훈 '상록수'이어 농촌문학으로 데뷔

  • 승인 2022-08-31 16:38
  • 수정 2025-09-03 14:02
  • 신문게재 2022-09-01 16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이규희 작가
이규희 작가
"대전사범학교 재학 중 방학 숙제로 학교에 제출한 단편소설 '단념'이 중도일보 고등부 문예에 당선되었고, 소설가의 길을 걷는 나침반이 되었죠"

한국가톨릭문학상 수상에 빛나는 이규희 작가는 1955년 중도일보와 맺은 인연을 이렇게 설명했다. 충남 아산 잔실의 첩첩두메에서 자란 이 작가는 중학교에 진학하게 되면서 대전에서 앞서 정착한 오빠와 생활했다. 중학교 입학실을 치르고 며칠 지나지 않아 한국전쟁을 맞았을 때 피난 보따리에 새로 받은 교과서만 싸서 짊어지고 다녔던 그였다. 그것이 그가 그리는 먼 장래와 이어질 다리기라도 한 것처럼 말이다.

이 작가는 "대전사범학교에 입학하니 시인 한성기 선생님과 서지학자 백순재 선생님이 계셨고, 소설을 써오라는 방학 숙제가 있었다"라며 "2년간 도시락 없는 점심시간에 읽은 소설책들이 밑바닥 실력이 되었는지 짧막한 단편소설이 엮어졌고, '단념'이었다"라고 회상했다.

그렇게 숙제를 낸 백순재 선생님은 다른 학교로 전근을 가셨으니, 학교에 제출한 '단념'을 아주 잊고 있던 중, 한성기 선생님이 중도일보의 고등학생부 문예작품 공모에서 이 작가가 숙제로 낸 단편소설이 당선되었다고 알려주었다.



이 작가는 "그때 '단념'이 제 인생의 나침반이 되었고, 중도일보 당선이 운명을 바꾸었다"라며 "사범학교를 졸업해 교사의 길이 예정돼 있었으나, 문학에 대한 동경을 갖고 계셨던지 아버지께서 곧장 나의 대학 진학을 허락하셨고, 국문과를 이수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작가가 사범학교에 재학 때 대전은 한국전쟁의 휴전협정이 체결되었으나, 또다시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혼란으로 문학과 예술분야 지식인들이 대전에 머물며 학문 세계를 구축하고 있었다. 대전사범학교는 시인 한성기 교사와 서지학자 백순재 교사가 학생들에게 국어를 가르쳤고, 마침 여학생 1개 반이 새로 생겨 남녀공학이 되었다.

대학을 나온다고 해서 절로 소설가가 되는 건 아니었다. 이 작가는 대학 졸업 후 25살 새파란 나이에 소설을 잉태하려 그의 고향이자 첩첩 두메마을로 돌아와 건너방에서 묵묵히 소설을 써나갔다. 뭇새들 조차 곤히 잠든 고요한 밤, 아버지가 뒤란을 걷는 발걸음 소리를 들으며 완성한 장편소설 '속솔이뜸의 댕이'는 1963년 동아일보 창간기념 장편소설 모집에 당선돼 문단 말석에 발을 붙였다. 1935년 작가 심훈이 '상록수'로 당선된 특별한 공모전에서, 이 작가가 고향을 이야기한 순수 농민문학으로 등단하면서 지역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소설집 '그 여자의 뜀박질은 끝나지 않았다'로 1998년 제35회 한국문학상을 수상하고, 6년간의 자료수집과 인터뷰 그리고도 집필을 완성하기까지 6년이 더 소요된 '그리움이 우리를 보듬어 올 때'는 1980년대 신군부 시대 민주화운동을 세밀하게 묘사했고, 2010년 가톨릭문학상을 그에게 안겼다.

이 작가는 "아슬아슬한 고층빌딩 위에 앉아 있는 우리를 추락하지 않게 받치고 있는 것은 농민이고, 농민의 구슬땀이 왜 무의미해야 하는가 묻고자 속솔이뜸의 댕이를 썼다"라며 "중도일보 문예에 당선되면서 운명이 바뀌었고, 소설가의 삶은 한치의 후회함 없이 아버지를 포함해 내가 글을 쓰게 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한 마음"이라고 전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설] 최교진 교육장관의 '교권 보호' 언급
  2. [월요논단] 교통약자의 편리한 이동을 위한 공공교통
  3. 지질자원연 창립 77주년, 새 슬로건 'NEO KIGAM 지구를 위한 혁신'
  4. [사설] K-스틸법으로 철강산업 살려내야 한다
  5. 특구재단 16~17일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투자주간'
  1. 대전권 4년제 수시 경쟁률 상승… 한밭대·우송대 선전
  2. [홍석환의 3분 경영] 무능한 리더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
  3. 폭우에 도로 잠기고 나무 쓰러져…당진서 알레르기 환자 긴급 이송
  4. 9월 무더위 계속…16일 충남 서해안 강우
  5. 조선 조운선 '마도4호선' 첫 발굴 10년만에 선체인양…나무못과 볏짚 활용 첫 확인

헤드라인 뉴스


역대 정부 `금강 세종보` 입장 오락가락… 찬반 논쟁 키웠다

역대 정부 '금강 세종보' 입장 오락가락… 찬반 논쟁 키웠다

이재명 새 정부가 금강 세종보 '철거 vs 유지' 사이에서 오락가락 행보를 보이면서, 찬반 양측 모두의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미래 방향성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이전 정부부터 반복되는 악순환이다. 실제 노무현 정부 당시에는 행복도시 내 '금강 친수보' 건립으로 추진했으나, 문재인 정부에선 주민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철거'란 상호 배치된 흐름을 보였다. 이명박 정부의 '4대강 보'와 태생이 다르나 같은 성격으로 분류되면서다. 지방정부 역시 중립적이고 실용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환경부가 밀어부치기식 정책 추진을 할..

규제도 피하고 통계에도 잡히지 않는 주택신축판매업자 급증
규제도 피하고 통계에도 잡히지 않는 주택신축판매업자 급증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건설 승인을 받지 않고 주택 통계에도 포함되지 않는 ‘주택신축판매업자’가 전국적으로 8만7876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격한 주택법을 피하면서 주민 복리시설이나 소방시설 등 엄격한 규제조차 제대로 받지 않는 데다, 정부의 주택통계 작성과정에서도 빠져 부실한 관리를 초래해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이 국토교통부로 받은 ‘주택신축판매업을 영위하는 개인·법인 가동사업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적으로 모두 8만7876개의 주택신축판매업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택신..

정부,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규모 공급... 최대 900억 투입 과일 등 할인
정부,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규모 공급... 최대 900억 투입 과일 등 할인

정부가 추석 성수품을 역대 최대 규모인 17만 2000톤을 공급한다. 최대 900억원을 투입해 과일·한우 등 선물 세트를 최대 50% 할인하며, 전국에 2700여 곳의 직거래장터를 개설한다. 정부는 1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러한 내용의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농·축·수산물의 가격·수급 안정을 위해 공급을 확대한다. 공급 물량은 농산물 5만톤, 축산물 10만 8000톤, 수산물 1만 4000톤 등 17만 2000톤으로, 평시의 1.6배 규모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