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호-새해운세] 역학으로 풀어보는 구박사의 2024 갑진년(甲辰年) 운세

[신년호-새해운세] 역학으로 풀어보는 구박사의 2024 갑진년(甲辰年) 운세

  • 승인 2023-12-31 13:10
  • 신문게재 2024-01-02 7면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청룡해-메인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단기 4357년, 서기 2024년인 올해는 갑진년(甲辰年)으로 파란용, 즉 청룡(靑龍)의 해다.

갑진년에 출생한 사람의 성품은 강직하고 바다와 같이 넓으며, 능소능대하여 변화가 무궁하고 매우 사나울 때도 있다. 또한, 용감하고 정직하며 그 풍채가 늠름하며 웅대한 편이며, 다정하고 담백하게 보이므로 친구도 많으나 무슨 일이든지 급하게 서두르는 경향이 있다. 일생동안 안온할 때는 한없이 안온하고 괴로울 때는 한없이 괴로운 사람이며, 사업에 분투도 하며 부지런하기도 하지만, 뒷생각을 하지 않으므로 실패를 하는 수가 많다. 간혹 그 일이 안되는 줄 얼면서도 억지로 하는 수도 있지만. 인내성이 있어 일평생 의식주에 대한 걱정은 없는 팔자다.

부모·형제는 정이 없어서 사방에 살게 될 것이며, 재주가 있는 사람이므로 높은 벼슬을 하는 사람들도 많다. 운세도 좋고 오래가므로 자연히 신용도 얻고 자기의 희망도 여의하게 되지만, 21세, 37세, 43세 때는 부부간에 이별 수도 있으므로 주의를 해야 한다. 덕은 있으나 구설수가 많이 따르게 되어 자주 이사도 하게 되기는 하지만 부지런히 살고 남에게 적선도 많이 하면 본인의 꿈을 이루는 사람이 될 것이다.

▲경제 다소 호전… 당쟁 심화할 수도=갑진년(甲辰年)은 납음오행(納音五行)으로는 천중수(泉中水)에 해당돼 올해는 수(水)가 득세(得勢)할 운(運)이라고 보는데, 올해 역시 수출 등의 무역 경기가 작년보다는 다소 호전되어 국민 경제(經濟)는 조금 나아질 것이라 보며, 북한과의 관계에서는 북한에서 우리 대한민국에 위협적인 돌발행동을 하는 해로써 긴장을 늦추지 못하는 해가 될 것이며, 혹간 동북부 해상에서의 도발이 한, 두 번 정도 있을 수 있으므로 긴장을 놓아서는 안 될 것이다.



국내(國內) 날씨는 여름에는 매우 무덥고 힘이 들겠고 비도 많이 내려 풍수해를 많이 겪게 되는 해이므로 더더욱 조심하여야 할 것이다. 반면 겨울 날씨 또한 매우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해이므로 겨울을 겨냥하는 사업은 호황을 누릴 전망이며, 북동부 산간지역에서의 대형 산불이 염려되는 해가 될 것이므로 산불방지에 만전을 기해야 하겠다.

역사적으로 갑진년은 크고 작은 정변이 많이 일어나 기득권 세력이 교체됐던 해이므로, 그것으로 미뤄볼 때 정치적으로는 아주 혼란스럽고 당쟁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정치계와 연예계의 큰 별들이 몇 개 떨어질 운세이므로 안타깝다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삼국유사·고려사·고대소설에도 등장=문헌에 나오는 龍(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그 역사가 꽤나 깊다. 용의 순수한 우리 이름은 미르(訓蒙字會-훈몽자회) 또는 미리(雅言覺非-아언각비)라고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용은 그 출생지가 약간씩 다른데, 인도에서 온 불교적인 용, 중국의 도교나 유교에서 온 용, 본래 이 땅에 있던 순수 토종 용 등이다. 그 역할을 살펴보면 예시예언자, 水神(수신), 護國(호국), 護法(호법) 등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한다.

삼국유사에서는 신라 탈해왕이 용의 자식으로 인간 세상에 내려온 것으로 설정돼 있으며, 고려사에는 서해 용왕이 고려 태조 왕건의 아버지에게 먼 훗날 아들이 왕이 될 것을 예언한 것으로 나와 있다. 고대소설 '홍길동전'에도 아버지 홍 판서의 꿈에 청룡이 나타나 홍길동의 탄생을 점지해줬다.

▲水神 신격화… 호국의 상징=水神(수신)으로서의 용은 자연현상을 마음대로 조화부리는 존재로 신격화시켰다. 진평왕 때는 용 그림을 그려놓고 비를 기다리는 화룡제를 지냈으며, 고려 헌종은 흙으로 용의 형상을 만들어 토룡제를 지냈다. 또 조선 시대에는 오해와 오강을 정해 용신제를 지냈다는 기록도 있다. 토속신앙에서는 용왕에게 제사를 지내며 풍어를 기원하기도 했으며, 민간설화에도 용왕과 용궁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용은 호국의 상징이기도 했다. 삼국유사에는 황룡사에 구층탑을 세우면 이웃 나라의 항복을 받아 國泰民安(국태민안)할 것이라는 예언에 따라 탑을 세웠는데 이후 머지않아 삼국이 통일되었다고 나온다. 신라 원성왕 때는 당나라 사신이 동해용과 청지용, 분황사 용을 고기로 만들어 주머니에 넣어가려던 것을 되찾았다는 기록도 있다.

▲불법 지키는 수호신… 임금에 비유되기도=용은 불교를 보호하고 번창시키는 호법의 화신으로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불교의 유입과 함께 인도의 문물이 중국으로 전해 내려오면서 아직 신격화되지 않았던 중국의 용은 인도의 蛇神(사신) 숭배 사상을 빌어 비로소 신격화됐으며, 용은 신격화와 함께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승격돼 팔부신 중의 하나가 됐다.

용은 임금에 비유되기도 하는데 고려가요인 쌍화점을 보면 우물가의 처녀가 용에게 손목을 잡힌 이야기가 나오는데, 즉 우물의 용이 바로 임금이었다는 것이다. 또 조선 시대에는 역성혁명을 합리화하기 위한 용비어천가에 태조 이성계를 포함한 윗대 선조들이 모두 용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龍顔(용안), 崑龍袍(곤룡포), 龍床(용상), 龍座(용좌), 龍駕(용가), 龍車(용거), 龍德(용덕) 등의 단어들이 그것을 잘 말해주고 있다.

▲'길 닦아 놓으니 용천배기 지랄한다' 등 속담도=우리 속담에는 용에 관한 것이 유난히 많은데 '개천에서 용 났다'는 말은 변변찮은 집안에서 인물이 낫다는 이야기이고, '길 닦아 놓으니 용천배기 지랄한다'는 말은 공들여 놓은 일이 보람 없이 일그러졌을 때 하는 말이다. 또한 '용 못된 이무기'는 심술만 남아 남의 일을 훼방 놓는 심술꾸러기를 가리키는 말이고, '용이 물밖에 나니 개미 새끼까지 까불 싹 댄다'는 말은 잘난 사람이 한번 실패해서 기가 죽으니 하찮은 것들이 함부로 한다는 뜻이다.

놀라운 상상의 동물인 용은 십이지의 다섯 번째 동물로 '辰(진)'이라고 하는데, 이 글자는 용의 특징을 그대로 닮아 힘차게 기상하는 모양이며, 시간으로는 오전 7시부터 9시 사이를 뜻하고 달로는 음력 3월에 해당한다.

2024년은 다른 해에 비해 정치, 사회, 경제 등이 모두 힘들게 되는 암울한 한 해가 되리라 전망되지만, 용꿈을 꾸면 승진을 하거나 영귀해지고 귀한 자식을 잉태한다는 말도 있듯 올해 좋은 용꿈을 꿔서 힘든 해를 좋은 해로 만들어 나가길 바란다.

도움말=춘강 구홍덕 박사

구박사2
■춘강 구홍덕 박사 약력=▲중·고등학교 검정고시 합격 ▲학점은행제 대학 졸업자격 취득 ▲중부대학교원격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사회복지학석사) ▲미국 스텐톤대학교 명예 철학박사 ▲미국 캘리포니아센트럴대학교 명예 사회복지학박사 ▲구박사인생클리닉 원장 ▲한국정통역학연구원 원장 ▲한국정통작명연구원 원장 ▲한국관혼상제연구원 원장 ▲한국정통명리학회 이사장 ▲한국철학대학평생교육원 원장 ▲광주인력개발원 초빙교수 ▲농협대학교(여성대학/장수대학) 초빙교수 ▲대한민국명강사연합회 이사장 ▲한뿌리회(역사/윤리/도덕연구) 이사장 ▲(사)한국안전교육강사협회 감사/교수 ▲광주전남적십자혈액원봉사회 고문 ▲중부대학교원격대학원 총동문회 호남지역 회장 ▲(사)한국강사협회 위촉 대한민국명강사 제73호 ▲(사)한국안전교육강사협회 위촉 대한민국안전교육명강사 제9호 ▲대한민국명강사연합회 위촉 대한민국명강사 제3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여성경제인협 대전지회, 여성기업주간 맞이 디지털 역량 강화 '톡톡'
  2. 대전신세계, 무더위 피해 실내 공간 찾는 이들 위한 백캉스 쿠폰팩 선봬
  3. "서민 보양식은 옛말"... 대전 삼계탕 평균 1만 6400원까지 고공행진
  4. [현장취재]고 오기선(요셉) 신부 35주기 및 돌아가신 모든 사제를 위한 추모미사
  5.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1. [인터뷰]김정수 오기선요셉장학회 회장… "‘고아들의 아버지’ 오기선 요셉신부를 기리며"
  2.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3. 대전교육청 "여름철 물놀이 조심하세요~" 안전 캠페인
  4. 을지대병원, 임금협상 잠정 합의…'진료 공백 없어'
  5. 과기연전 "PBS 폐지, 과기 생태계 정상화 첫걸음… 실질적 구조 개편 이어져야"

헤드라인 뉴스


[기획 시리즈-①] 대전의 미래, 철도굴기로 열자

[기획 시리즈-①] 대전의 미래, 철도굴기로 열자

대전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본격적인 도시 성장을 시작했고, 이후 호남선 분기점으로서 교통의 중심지가 됐다. 하지만, 현재 한국 철도망은 고속철도의 등장과 함께 수도권 중심으로 고착화되고 있다. 서울역·수서역에서 출발한 열차는 대부분 경부고속선 또는 호남고속선을 따른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모멘텀이 필요하다. 대전도 마찬가지다. 충청권광역철도와 충청급행철도(CTX) 등 신속한 광역교통망 구축과 더불어 국가철도의 지역 연결성 강화로 재설정해 대전 성장 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 새 정부 국정과제 발굴과 5차 국가철도망 계획 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하면서 충청권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부품 수출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충남은 17개 시·도 중 2위의 수출실적을 자랑하고 있어 이번 상호관세로 전반적인 탄력이 기대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7월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한국은 미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8월 1일부터 25..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계룡건설산업(주)가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에서 대전지역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협회는 7월 31일 전국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시공능력평가' 결과 계룡건설산업이 전년 대비 2633억 원(9.7%) 증가한 2조9753억 원으로 5년 연속 2조 원을 돌파했다. 전국 순위도 두 계단 오른 15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주)금성백조주택이 3884억 원으로 2위(전국 75위), 파인건설(주)는 2247억 원으로 3위(전국 114위), 크로스건설(주)는 1112억 원으로 4위(전국 217위), (..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