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다문화] 야구로 이어진 마음, 나고야에서 대전까지

  • 다문화신문
  • 대전

[대전다문화] 야구로 이어진 마음, 나고야에서 대전까지

  • 승인 2025-07-09 17:33
  • 신문게재 2025-07-10 9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야구가 이어준 두 도시, 나고야와 대전

요즘 한화 이글스의 상승세에 힘입어 대전 시민들의 야구 사랑이 더욱 뜨겁다. 야구장을 찾는 즐거움과 승리의 기쁨이 일상에 활력을 주는 가운데, 필자의 고향인 일본 나고야에서도 같은 열정이 존재한다. 나고야 시민들은 '주니치 드래건스(中日ドラゴンズ)'를 열렬히 응원한다.

흥미롭게도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주니치 드래건스는 일본판 한화 이글스"라는 표현이 쓰이기도 한다. 이는 오랜 기간 성적 부진을 겪었던 두 팀의 이미지가 겹치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고야와 대전, 두 도시 야구팀 모두 깊은 팬심과 역사 속 특별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다.

1996년, 전설의 투수 선동열 선수가 KBO를 떠나 일본 프로야구(NPB)의 주니치 드래건스에 입단했다. 이어 1998년에는 '야생마' 이종범 선수도 같은 팀에 합류했다. 두 명의 한국 선수가 일본 무대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필자의 가족은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호감과 관심을 키워나갔다.



"1999년 드래건스가 센트럴 리그에서 우승했을 때, 그 중심에 선동열과 이종범이 있었다."

필자의 친정아버지는 지금도 그해를 가장 자랑스러운 순간으로 기억한다.

실제로 1999년은 주니치 드래건스가 11년 만에 센트럴 리그 우승을 차지한 해였다. 당시 선동열은 마무리 투수로 맹활약하며 팀의 뒷문을 든든히 지켰고, 이종범은 빠른 발과 공격력으로 타선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한류 이전, 야구가 만든 한국에 대한 인식

필자가 한국에 시집을 온 해는 1997년. 당시에는 가족 모두가 한국에 대해 잘 알지 못했고, 결혼을 반대하기도 했다. 하지만 곧이어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활약하는 선동열과 이종범의 존재가 가족의 인식을 바꿔놓았다.

"선동열, 이종범이 너무 잘하니까 기분이 좋아." 아버지는 자주 이렇게 말씀하시며 한국에 대해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했다.

이처럼 필자의 가족에게는 '겨울연가' 이전에 이미 '야구 한류'가 있었다.



▲나고야는 야구로 기억되는 도시

한국에서 가끔 "어느 도시에서 오셨어요?"라는 질문을 받으면, 필자는 "나고야요, 선동열과 이종범이 있었던 팀의 도시예요."라고 대답한다. 도쿄와 오사카만큼은 아니지만, 야구 팬이라면 나고야라는 도시 이름에 곧장 반가워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처럼 야구는 언어와 문화를 넘어 사람과 도시, 나라를 이어주는 특별한 힘을 지닌다. 필자는 지금도 대전에서 한화 이글스를 응원하면서, 고향 나고야에서의 추억과 연결된 정서적 유대를 느낀다.



까사이유끼꼬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함께 노래하는 대전 의사들 20년 맞이 정기공연…디하모니 19일 무대
  2. 대전대덕우체국 노사 재배 고구마 지역에 기부
  3. 항우연 곪았던 노노갈등 폭발… 과기연전 "우주항공청 방관 말고 나서야"
  4. [교단만필] 학교스포츠클럽, 삶을 배우는 또 하나의 교실
  5. 세종도시교통공사 '임산부의 날' 복지부장관 표창
  1. [사설] 공공기관 이전 '희망 고문'은 안 된다
  2. 대전농협, 농업 재해 피해 현장 방문
  3. 나에게 맞는 진로는?
  4.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5. 대전 상장기업, 사상 첫 시총 76兆 돌파

헤드라인 뉴스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간선급행버스체계인 BRT '바로타' 이용자 수가 지난해 1200만 명을 돌파, 하루 평균 이용객 3만 명에 달하며 대중교통의 핵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행복청은 '더 나은 바로타'를 위한 5대 개선 과제를 추진해 행정수도 세종을 넘어 충청권 메가시티의 대동맥으로, 더 나아가 세계적 BRT 롤모델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강주엽·이하 행복청)은 행복도시의 대중교통 핵심축으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한 BRT '바로타'를 세계적 수준의 BRT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17일 밝혔다. 행복청에 따르면..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육군 제32보병사단은 10월 16일 세종시 위치한 예비군훈련장을 첨단 ICT(정보통신기술)를 융합한 훈련시설로 재개장했다. 제32보병사단(사단장 김지면 소장)은 이날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세종 과학화예비군훈련장 개장식을 갖고 시설을 점검했다. 과학화예비군훈련장은 국방개혁 4.0의 추진과제 중 하나인 군 구조개편과 연계해, 그동안 예비군 훈련 간 제기되었던 긴 대기시간과 노후시설 및 장비에 대한 불편함, 비효율적인 단순 반복형 훈련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추진됐다. 제32보병사단은 지난 23년부터..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