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대에 이르러 유학의 신학풍인 성리학이 주자에 의해서 완성되었다. 주자학이라고도 하는데 주자는 이전의 주돈이나, 장재, 이정 등의 철학을 종합정리해 이(理)와 기(氣)의 골격의 이론을 성리학으로 완성시켰다.
주자가 해석하는 성리학을 굳이 설명하면 우주와 태극이 전개되어 음과 양의 두 기운으로 변하고 음양5행( 목·화·토·금·수)이 만들어져 만물을 생성변화 시킨다는 것이다. 태극을 이(理)로 하고 5행을 기(氣)로 하면서 태극은 형이상의 도(道)로 보고 음양5행을 형이하의 그릇으로 보았다.
만물의 생성변화는 이(理)는 성(性)으로 나타나고 기(氣)는 형(形)으로 나타난다고 하는데 이러한 이와 기, 성과 형은 인간에서의 도(道)와 경(敬)으로 통하니 이것이 곧 성인(聖人)이라고 했다. 이처럼 성리학에서의 인간의 최고목표는 자연철학의 초월적 인간인 성인을 추구하는데 있다.
우리나라는 이황과 이이가 주자학을 재정리해 철학을 굳혔다. 맹자의 4단(측은, 수오, 사양, 시비지심)을 이(理)로 정하고 7정(희-기쁨, 노-노여움, 애-슬픔, 락-즐거움, 애-사랑, 오-미움, 욕-욕심)을 기(氣)로 하여 이와 기의 관계를 도(道)와 경(敬)으로 보았다. 나아가 임금이 성인의 자세에서 훌륭한 정치를 펼쳐야 한다는 것을 임금에게 제시했다는 점에서 경이로운 사건이 아닐 수 없다.
선조가 17세의 어린 나이에 임금자리에 올랐을 때 68세의 대학자 퇴계가 임금의 인성과 수양을 위해 '성학십도(聖學十圖)'를 편찬했다. 정치의 기틀을 잡게 했고 퇴계의 후배학자인 율곡이 '성학집요(聖學輯要)'를 편찬해 정치기반을 구축했다.
이와 기가 지향하는 바는 임금이 군주로서의 훌륭한 정치를 펴는 것이었다. 정치적 사회적 혼란을 맞은 선조가 이 두 거목의 학자가 없었다면 어찌 됐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지금 두 학자의 사상과 철학이 절실히 요구된다.
노수빈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