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5강 어목혼주(魚目混珠)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5강 어목혼주(魚目混珠)

장상현 /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06-30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25강 어목혼주(魚目混珠) : 물고기 눈알이 구슬과 섞이다.

본 고사성어는 魚(물고기 어), 目(눈 목), 混(섞을 혼), 珠(구슬 주)의 네 글자로 구성 되었다, 출전은 한시외전(漢詩外傳)에 보이며, 한시외전에 "백골(白骨)은 상아(象牙)와 비슷하며, 물고기 눈알은 구슬과 흡사하다(白骨類象 魚目似珠백골유상 어목사주)"는 구절을 인용하였다.

따라서 '어목혼주(魚目混珠)'는 가짜(물고기 눈)가 진짜(진주)와 뒤섞여 있는 상태를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물고기 눈알이 어찌 구슬이 되겠는가. 쑥은 가차(?茶)가 될 수 없다.(魚目豈爲珠. 蓬蒿不成?.어목기위주 봉호불성가)」(가차는 고차(苦茶)의 일종으로 일반 차보다 쓴맛이 난다)고 했다.

남송(南宋)시대 마음씨 착한 만의(滿意)라는 상인(商人)이 있었다.



어느 날 만의는 커다란 진주(珍珠)를 사게 되었는데 반짝반짝 영롱한 빛을 품는 것이 한눈에 보아도 값비싼 보물이었다. 만의는 붉은색 비단주머니에 진주를 곱게 싸서 장롱 깊숙이 감추어두었다. 그 진주를 가보로 삼아 자손들에게 물려줄 생각이었다.

한편 만의의 이웃에 수량(壽量)이라는 게으른 가난뱅이가 살고 있었는데, 수량은 자신의 가난한 처지가 남에게 들킬까 늘 불안에 떠는 허영심 많은 사람이었다. 돈만 생겼다 하면 한 푼도 남기지 않고 모조리 써 버렸으며 늘 부자인양 행세를 하고 다녔다. 그러는가 하면 때때로 이웃에 사는 만의와 부(富)를 비교하기도 했다.

하루는 쌀독이 바닥나 며칠을 굶어 지냈던 수량이 배고픔을 견디다 못해 그만 길바닥에 쓰러지고 말았다. 이 광경을 본 행인이 그를 불쌍히 여겨 은자 몇 냥을 손에 쥐어주고 떠났다. 수량은 허기부터 달래려고 마을의 만두가게에 들렸다. 이때 마침 옆자리 손님들이 주고받는 대화를 엿듣게 되었다.

"장사를 마치고 돌아온 만의네 집에 글쎄 찾아드는 손님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고 하더라. 차(茶)도 내주며 후하게 대접한다던데 우리도 한번 가보지 않겠나?" 그의 말에 수량은 귀가 솔깃해졌다. 냉큼 자리에서 일어나더니 배고픔도 잊은 채 곧장 마을의 옷 가게로 달려갔다.

만의네 집에 가면 여러 사람들을 만날 수 있어 자신을 과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사람들을 만나는데 번듯한 옷 한 벌은 있어야지, 그는 주머니에 든 은자를 전부 털어 옷가게에서 가장 비싼 옷을 샀다. 이처럼 수량은 겉만 따지는 사람이었다.

며칠이 지났다. 밖에서 빈둥대던 수량은 어쩌다 바닥에 굴러다니는 물고기 눈알을 하나 발견했다. 그 물고기 눈알은 햇빛을 받아 진주처럼 반짝였다. 수량은 지난번 만의네 집에서 보았던 진주를 떠 올렸다.

"나에게도 이제는 진주가 생겼구나!"

수량은 누가 보기라고 할까봐 얼른 주머니에 넣었다. 그 때부터 수량은 그 물고기눈알을 진짜 진주를 다루듯 애지중지했다.

훗날 같은 마을에 사는 주민이 병들어 곧 죽게 되었다. 의원은 진주를 갈아 약에 넣어 먹어야만 나을 수 있다고 했다. 이를 알게 된 만의가 그 사람을 가엽게 여겨 자신이 아껴온 진주를 내어주겠다고 말했다.

소문은 마을 전체에 퍼졌고 수량도 이를 전해 듣게 되었다. 이 기회에 영웅으로 칭송받고 싶었던 수량은 애지중지하던 물고기 눈알을 가지고 한달음에 달려왔다. 마을 사람들이 모인자리에서 만의와 수량은 나란히 앉았다. 만의가 먼저 보자기를 풀었다. 그러자 뽀얀 진주가 눈부신 광채를 뿜으며 귀한 자태를 드러냈다.

이에 뒤질 새라 수량도 보자기를 풀었다. 그러나 광채는 커녕 거무스름한 빛만 보일 뿐 누가보아도 썩은 물고기 눈알이었다. 이 일이 있은 후 수량은 줄곧 사람들의 비웃음과 조롱을 받아야만 했다. 진짜와 가짜는 처음에는 분간 할 수 없으나 결국 진위(眞僞)가 가려지기 마련이다. 진짜는 언제나 그 광채가 항상 빛나고 고귀하다. 그러나 가짜는 시간이 갈수록 광채를 잃어버리고 몹쓸 물건으로 변한다.

요즈음은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정치인들에게서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기란 하늘에 별 따기 만큼이나 어렵다. 모두가 가짜 같다. 왜? 권력이나 힘으로 진짜를 가짜로 만들고 가짜를 진짜로 만들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장유(張維)의 계곡집(谿谷集)의 글귀도 보자.

겉모습만 보고서 속마음을 믿기 때문에 간사한 사람이 나라를 어지럽히고 있어도 뉘우쳐 바꾸게 할 수가 없는 것이다. 視其外而信其中 故有奸人亂國而不可悔者也(시기외이신기중 고유간인난국이불가회자야)

정의사회(正義社會)란 자기가 노력한 만큼의 대가(代價)를 받는 것이다. 그러나 노력하지 않는 자들이 요행(僥倖)이나 권세(權勢)에 힘입어 노력하는 사람보다 더 큰 대가를 받는다면 누가 힘든 일을 하려고 하겠는가? 무임승차(無賃乘車)가 오히려 당당한 대우받는 희한(稀罕)한 세상이 될 것이다.

결자해지(結者解之)라 했던가! 정책을 태동시키고 추진하고 있는 청(靑)과 여당만이 혼란을 진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권력자에게 아부하여 사회혼란을 일으키는 간신은 단호히 이 사회에서 분리시켜 정의로움을 바로 세워야 할 것이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5-장상현-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망 20일 뒤 발견된 모자 왜?…사회 단절된 채 수개월 생활고
  2. 대전교육청 리박스쿨 이어 이번엔 극우 교원단체 '대한교조' 홍보 배정 논란
  3. 조길형 충주시장 "도지사 출마" 선언에 지역 민심 '싸늘'
  4.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5. 저스티스 유한 법무법인 첫 전환…전문성·법률서비스 강화
  1. 의대생 전원 돌아온다지만... 지역 의대 학사운영·형평성 논란 등 과제
  2. 유성선병원 대강당의 공연장 활용 의료계 의견 분분…"지역 밀착형vs감염병 취약"
  3.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4.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5. 대전.충남 행정통합 결실 위해선 초당적 협력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오는 8월 청와대의 대국민 개방 종료와 함께 이재명 새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시선이 어디로 향할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새 정부 로드맵에 따라 7월 말 일단 문을 닫는다. 2022년 5월 첫 개방 이후 약 3년 만의 폐쇄 수순이다. 빠르면 9월경 종합 보안 안전과 시설물 등의 점검 과정을 거친 뒤 대통령실의 심장부로 다시 거듭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국정 운영을 시작할 시점이기도 하다. 청와대가 다시 수도 서울의 상징이자 중앙권력의 중심부로 돌아오는 과정이나 우려되는 지점은 분명하다. 수도권 초집중·과밀을 되레 가속..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대전시가 지역 대학생들과 협업해 새롭게 탄생시킨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를 시민들에게 공개했다. 15일 대전시에 따르면 오는 17일까지 대전시청 1층 로비에서 '2025 꿈씨패밀리 스포츠디자인 산학협력 프로젝트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대전시 대표 마스코트인 '꿈돌이'와 '꿈씨패밀리'를 스포츠 테마로 재해석한 작품들로, 한남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와 목원대학교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생 38명이 참여해 지난 한 학기 동안 완성한 결과물을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자리다. 전시장에는 캐릭터별 등신대, 티셔츠·선캡 등 굿즈, 그리..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충청을 대표하는 미술상인 제23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자로 임송자 화백이 선정됐다. 이동훈기념사업회는 15일 중도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제23회 이동훈미술상 수상 작가 심사 결과, 본상에 임송자 화백, 특별상에 김은희, 정의철 작가를 각각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훈 미술상은 대전·충청 미술의 토대를 다진 고 이동훈 화백의 예술정신을 기리고자 2003년 제정됐다. 대전시와 이동훈기념사업회가 공동 주최하며, 중도일보와 대전시립미술관이 주관한다. 본상은 한국 근·현대미술에 큰 업적을 남긴 원로 작가에게, 특별상은 대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