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호주 캔버라 100년에서 세종시 100년을 본다

  • 정치/행정
  • 국회/정당

[시리즈] 호주 캔버라 100년에서 세종시 100년을 본다

도시설계부터 최고 교육 인프라 계획 세계적 명문 ANU 입지
인재유출 방지로 빠른 정착에 기여 국립대 없는 세종과 대조
각 州마다 우수대학 G8…특화발전 시너지 국토 다핵화 동력

  • 승인 2023-12-03 18:54
  • 신문게재 2023-12-04 3면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clip20231203101343
캔버라에 있는 호주국립대(ANU) 전경. 사진출처: 나무위키
호주 캔버라가 드넓은 대륙의 수도로 안착할 수 있었던 것은 '교육의 힘'이 배경이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중심엔 호주 국립대(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NU)가 있다.

ANU는 수도 건설이 시작된 지 20여 년 만인 1946년 호주 국회 입법으로 설립됐고 지금까지 호주 내에서 유일무이한 국립대다.

이 대학은 세계 20위 권 내의 명실상부한 호주 내 최고 명문 대학이며 세계 20위 권 안에 드는 명문대학으로 손꼽힌다.



ANU에는 인문사회대, 경영대, 공대, 법대, 의대, 이과대 등 7개 단과대를 갖춘 종합대로 단과대학마다 각각 학부과정과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캔버라에서 고등학교를 나온 젊은 우수 인재들이 시드니나 멜버른 등 국내 대도시로의 유출을 최대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호주 현지인들이 전하는 공통된 견해다.

ANU 동문인 권묘순 캔버라 한인회장은 중도일보와 인터뷰에서 "한국으로 치자면 서울대로 이 나라 최고의 교육인프라"라며 "캔버라 도시를 건설할 때부터 최고 국립대를 설립하겠다는 계획이 있었다고 들었다. ANU로 인해 캔버라가 빠르게 정착할 수 있었다는 데 이견은 없다"고 설명했다.

캔버라에는 이와 함께 캔버라대(University of Canberra) 공립 종합대학교도 자리 잡고 있다.

이처럼 우수 교육 인프라 때문에 캔버라가 호주 내 최대 도시가 아님에도 수도로서 빠른 시간 내에 정착할 수 있었고 지금도 그 역할을 수행하는 데 부족함이 없는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나라 행정수도 세종시에 국립 또는 공립대학이 없으며 복수 대학이 연합해 대학원 과정 중심인 공동캠퍼스가 내년에 개교하는 것과는 대조적인 대목이다.

비단 캔버라뿐만 아니다. 호주는 우수 대학이 서울에 집중돼있는 한국과 달리 국토 전 지역에 유명 대학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G8( Group of Eight)가 그것이다. G8은 8개 주요 연구 중심 대학 협의체로 1999년에 공식 출범했으며 각각 메인 캠퍼스가 각 주와 준주의 주도에 위치하고 있다.

ANU를 비롯해 애들레이드대, 멜버른대, 모내시대, 뉴사우스웨일스대, 퀸즐랜드대, 시드니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가 이에 해당한다.

이들 8개 대학은 학생의 상호 교류, 합동심포지엄의 개최 및 정부의 정책에 조언하는 역할을 맡고 있기도 하다.

각 주에 우수한 대학이 있다 보니 산학 협력 시너지가 발생 국토 다핵화를 이루는 동력으로 작용했다.

주호주 한국대사관 김형배 선임실무관은 "시드니는 금융, 퍼스 등 서부 호주에선 광산업이 중심이 되고 애들리이드는 와인 산업과 교육, 남부에선 캔버라와 멜버른이 각각 주의 중심이 되고 있다"며 "경제력과 인구가 서울·수도권에 집중된 한국의 현실과는 사뭇 다른 상황"이라고 국토 다핵화를 한 호주의 균형발전 노력을 귀띔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도 공공기관 지방이전 등 추진으로 인구 분산은 물론 이와 연계한 특화산업 발전을 추진 균형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호주 캔버라=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전사고 일어날라… '사전투표소 대관' 고민 깊은 학교
  2. [썰] 대전시의회 박종선, 예고된 국민의힘 탈당?
  3. 한국자유총연맹 대전시지부, 이달의 자랑스러운 회원 시상
  4. 대전교육청 급식 갈등 봉합 장기화되나… 조리원 직종 교섭 일정도 못 정해
  5. 나노종합기술원 반도체 소부장 테스트베드 역할 톡톡… 21개 품목 국산화 달성
  1. [인터뷰] "장마철 비 피해 막는 호우 긴급재난문자 큰 도움 되길"
  2. 한 아이도 놓치지 않는 맞춤형 학습지원 시스템… 기초학력 공고히
  3. [홍석환의 3분 경영] 기억나는 사람
  4.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5. 대전·충남 등 11개교육청 '거점형 돌봄기관'… 시 2곳·도 3곳 등 52곳

헤드라인 뉴스


첫 투표권 행사 앞둔 Z세대… 정당 아닌 “내 삶 바꿀 한표”

첫 투표권 행사 앞둔 Z세대… 정당 아닌 “내 삶 바꿀 한표”

6월 3일 조기대선을 앞두고 생애 첫 대선 투표권을 얻은 Z세대의 정치 참여 열기가 뜨겁다. 이들은 약관임에도 12·3 계엄사태와 대통령 탄핵 등 굴곡진 헌정사를 직접 목도하며 민주주의 가치에 대해 일찍 눈을 떴다. 이 때문에 Z세대는 자기주장 표출에 주저하는 기성세대와는 다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활발히 소통하며 '민주주의 주인'으로서 정체성을 스스로 각인하는 데 인색하지 않다. 생애 첫 공직투표를 앞뒀다는 차 모 씨(19·유성구)는 요즘 저녁마다 대선 후보들의 정책 요약 영상과 뉴스 클립을 챙겨 본다. 그는 "정치..

美 연준 금리 동결…한은 금리 인하 카드 꺼낼까
美 연준 금리 동결…한은 금리 인하 카드 꺼낼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세 번째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5월 29일 예정된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내 들지 주목된다. 연준은 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1월과 3월에 이어 세 번 연속 동결이다. 이에 따라 한국(2.75%)과의 기준금리 차이는 상단 기준 1.75%포인트로 유지됐다. 연준은..

"엄마 아빠 사랑해요" 아주 특별한 어버이날 편지
"엄마 아빠 사랑해요" 아주 특별한 어버이날 편지

대전하기초는 8일 어버이날을 맞아 '드론 플래시몹' 행사를 열고 부모님께 사랑과 감사의 메시지를 전하는 특별한 시간을 마련했다. 이번 행사는 대전하기초 인성교육의 일환으로 전교생과 직원 400여명이 참여했다. 학생들은 학급별로 맞춘 색색의 단체 티셔츠를 입고 운동장에 질서정연하게 모여 '엄마, 아빠 사랑해요'라는 글자를 만들어냈다. 사전 연습을 거쳐 정밀하게 구성된 플래시몹은 드론을 활용한 항공 촬영을 통해 감동을 생생히 담아냈다. 촬영된 영상은 어버이날 오전 학부모들에게 공유됐고, 학부모들은 영상 속 운동장을 가득 메운 자녀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 출시…‘함께 투표해요’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 출시…‘함께 투표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