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동대-경희대 연합팀이 포항시 주최 '제1회 2025 전시산업 디지털 융합 해커톤'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해커톤은 전국 지자체 최초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최신 디지털 기술과 전시산업을 접목한 창의적 솔루션 발굴을 위해 개최됐다.
MICE·디지털 전공 대학(원)생 52명이 12개 팀으로 나눠 AI, IoT, NFT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전시 현장의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한동대 학생들은 경희대 컨벤션전시경영학과 석사과정의 박은정, 유은빈, 이혜민 학생들과 함께 '전시장 폐기물종합관리시스템(W.A.S.T.E)'을 기획·개발해 심사위원단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스템의 핵심은 전시장 내 발생하는 폐기물을 AI 기반 이미지 인식을 통해 자동 분류하고 IoT 센서 기반 스마트 쓰레기통과 자율주행 수거 로봇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거 및 탄소 배출량을 측정, ESG 리포트를 자동 생성하는 통합 플랫폼이다.
마스코트형 안내 로봇, AI 기반 분리수거 로봇, 자율주행 수거 로봇으로 구성된 3종 로봇 시스템과 ESG 리포트 자동화 구조는 전시장 내 환경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면서도 높은 기술적 설득력과 실현 가능성을 갖춘 점에서 심사위원단의 호평을 받았다.
심사위원단은 "ESG 경영이 점점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전시장 탄소 배출을 실시간으로 자동 측정·기록할 수 있는 기획은 매우 시의적절하고 실용적인 접근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단순 기술 제안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적용 가능한 구조와 비즈니스 확장성까지 설계된 점이 인상 깊었다"며 "일부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장기적으로 지자체나 산업 현장에 실제 도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팀장을 맡은 최혁진 학생은 "전시산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문제와 국제적으로 높아지는 ESG 경영과 탄소 배출 저감에 대한 관심을 직접 체감할 수 있었다"며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큰 보람을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포항=김규동 기자 korea80808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