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감사위, 도매시장 농산물 유통관리 개선 이끌어내

  • 전국
  • 부산/영남

부산시 감사위, 도매시장 농산물 유통관리 개선 이끌어내

잔류농약 검사 강화로 시민 먹거리 안전성 확보 총력

  • 승인 2025-07-17 09:29
  • 김성욱 기자김성욱 기자
부산시청 전경(부산시 제공)
부산시청 전경./부산시 제공
부산시 감사위원회가 지난 2월과 4월 실시한 반여·엄궁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종합감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이번 감사를 통해 잔류농약 검사 체계의 사각지대가 밝혀졌고, 이에 대한 실질적인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 시민 안전을 위한 농산물 유통 관리 강화에 나섰다.

감사위는 이번 감사를 통해 잔류농약 검사 결과가 경매 후에 도매시장으로 통보되어 부적합 판정 농산물이 이미 시중에 유통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발견했다.

기존에는 보건환경연구원이 주 2회만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했고, 밤 12시에 진행된 검사 결과는 다음 날 오후 3시에나 통보되어 경매가 끝난 후였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총 148건, 1만4312kg에 달하는 부적합 농산물이 시중에 유통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감사위는 시민의 안전한 먹거리 확보가 최우선이라는 판단하에 보건환경연구원과 도매시장사업소에 부적합 판정 농산물 유통을 근절할 방안을 긴급히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채소류는 조리하지 않고 바로 섭취하는 경우가 많고, 한 번 유통되면 추적해 수거·폐기하기 어렵기 때문에 검사 강화를 통한 선제적 차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감사위의 지적에 따라 보건환경연구원과 도매시장사업소는 지난 5월, 잔류농약 검사를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 추진했다.

기존 주 2회에서 경매가 없는 토요일을 제외한 주 6일로 검사 횟수를 대폭 늘려 검사의 빈틈을 없앴다.

매일 오후 10시에 농산물을 수거·검사한 후, 다음 날 새벽 1시(경매 전)에 잔류농약 검사 중간 결과를 도매시장사업소에 통보해 부적합 의심 농산물이 경매를 통해 유통되지 않도록 우선 차단한다.

이후 새벽 4시(경매 전)에 최종 결과를 통보해 부적합 농산물을 수거·폐기할 수 있도록 조치해 시민의 식탁에 안전한 농산물만 오를 수 있도록 했다.

윤희연 시 감사위원장은 "감사 결과를 공개하기 전에 피감 부서에서 선제적으로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은 이례적 현상으로, 이는 시민 건강과 직결되는 먹거리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라며, "이번 감사를 통해 농산물도매시장 유통체계 전반의 선진화를 위한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감사위는 '잔류농약 검사 결과 부적합 농산물 유통 부적정' 건에 대해 기관경고 등의 조치를 내렸으며, 도매시장사업소 종합감사 결과는 부산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산을 비롯한 서해안 '물폭탄'… 서산 420㎜ 기록적 폭우
  2. [우난순의 식탐] 열대의 관능과 망고시루의 첫 맛
  3. 세종시 북부권 중심으로 비 피해...광암교 붕괴
  4. 김석규 대전충남경총회장, 이장우 대전시장과 경제발전방안 논의
  5. [대전다문화] 아이들의 꿈과 열정, 축구
  1. 국민연금공단 대전·세종본부, 취약계층 아동 지원
  2. 세종시, 에너지 자립 스마트시티로 도약 선언
  3. [대전다문화]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사례관리 신청하세요!!
  4. 한밭대 성백상·이주호 대학원생, OPC 2025 우수논문상
  5.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헤드라인 뉴스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16일 밤부터 17일 오후까지 충청권에 500㎜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곳곳에서 인명사고 등 비 피해가 속출했다. 시간당 110㎜ 이상 기록적 폭우가 내린 서산에선 2명이 사망했고, 당진에서도 1명이 물에 잠겨 숨지는 등 충남에서 인명사고가 잇따랐으며, 1800건이 넘는 비 피해가 접수됐다. 세종에서는 폭우로 인해 소정면 광암교 다리가 일부 붕괴 돼 인근 주민 30명이 식당으로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17일 충청권 4개 시·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까지 충남 지역에만 1883건, 충북 222건, 세종 48건,..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가져올 효과는 과연 세종시 잔류보다 100배 이상 크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객관적 분석 자료에 근거한 주장일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충청 타운홀 미팅,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가 14일 청문회 자리에서 연이어 강조한 '이전 논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효과 분석' 지표는 없어 지역 갈등과 분열의 씨앗만 더욱 키우고 있다. 사실 이는 최소 6개월 이상의 용역(가칭 해수부의 부산 이전 효과)을 거쳐야 나올 수 있을 만한 예측치로, 실상은 자의적 해석에 가깝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