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시청 전경./부산시 제공 |
이번 감사를 통해 잔류농약 검사 체계의 사각지대가 밝혀졌고, 이에 대한 실질적인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 시민 안전을 위한 농산물 유통 관리 강화에 나섰다.
감사위는 이번 감사를 통해 잔류농약 검사 결과가 경매 후에 도매시장으로 통보되어 부적합 판정 농산물이 이미 시중에 유통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발견했다.
기존에는 보건환경연구원이 주 2회만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했고, 밤 12시에 진행된 검사 결과는 다음 날 오후 3시에나 통보되어 경매가 끝난 후였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총 148건, 1만4312kg에 달하는 부적합 농산물이 시중에 유통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감사위는 시민의 안전한 먹거리 확보가 최우선이라는 판단하에 보건환경연구원과 도매시장사업소에 부적합 판정 농산물 유통을 근절할 방안을 긴급히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채소류는 조리하지 않고 바로 섭취하는 경우가 많고, 한 번 유통되면 추적해 수거·폐기하기 어렵기 때문에 검사 강화를 통한 선제적 차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감사위의 지적에 따라 보건환경연구원과 도매시장사업소는 지난 5월, 잔류농약 검사를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 추진했다.
기존 주 2회에서 경매가 없는 토요일을 제외한 주 6일로 검사 횟수를 대폭 늘려 검사의 빈틈을 없앴다.
매일 오후 10시에 농산물을 수거·검사한 후, 다음 날 새벽 1시(경매 전)에 잔류농약 검사 중간 결과를 도매시장사업소에 통보해 부적합 의심 농산물이 경매를 통해 유통되지 않도록 우선 차단한다.
이후 새벽 4시(경매 전)에 최종 결과를 통보해 부적합 농산물을 수거·폐기할 수 있도록 조치해 시민의 식탁에 안전한 농산물만 오를 수 있도록 했다.
윤희연 시 감사위원장은 "감사 결과를 공개하기 전에 피감 부서에서 선제적으로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은 이례적 현상으로, 이는 시민 건강과 직결되는 먹거리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라며, "이번 감사를 통해 농산물도매시장 유통체계 전반의 선진화를 위한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감사위는 '잔류농약 검사 결과 부적합 농산물 유통 부적정' 건에 대해 기관경고 등의 조치를 내렸으며, 도매시장사업소 종합감사 결과는 부산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