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14. 청출어람(靑出於藍)

  • 문화
  •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14. 청출어람(靑出於藍)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19-12-03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불우하게 태어나 고생을 지지리 하면서 살았다. 그러다보니 솔직히 S대의 가치와 품격을 몰랐다. 그러다가 점차 나이를 먹으면서 S대 출신들의 약진(躍進)이 두드러짐을 보았다.

S대를 나온 인사들이 여기저기서 역시 발군의 실력을 뽐내며 요직을 점령하는 모습에서 새삼 S대의 위상까지를 숭상(崇尙)하게 되었다. 더불어 발칙하게 '나도 내 아이를 S대에 보낼 수 있을까?!'를 도모하게 되었다.



그것은 어쩌면 절대적 명제였다. 중학교조차 못 간 무지렁이라고 무시당하며 살아온 이 세상에 대한 반격이기도 했다. 물론 그러한 염원을 아이들이 아닌, 나 자신이 이룰 수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그러나 핑계가 아니라 공부도 때가 있는 법이다. 나로선 어차피 '버린 인생'이라지만 아이들만큼은 꼭 S대를 나왔음 하는 바람이 간절했다. 그렇다고 해서 아이들에게 대놓고 S대 얘길 한 적은 없다.



예나 지금이나 상대방에게 부담이 되는 말은 절대 안 한다. 이는 가족들 역시 마찬가지다. 부담을 느끼면 거북하다. 거북은 불평을 낳고 불평은 짜증으로 이어진다. 짜증은 또한 포기의 징검다리다.

여하튼 자신의 아들과 딸이 S대에 입성하길 바라는 건 대한민국 모든 부모의 기대임은 당연지사다. 이는 청출어람(靑出於藍)의 인지상정까지를 드러내는 어떤 본심일 터다.

한데 그러자면 그에 합당한 자리(場)를 마련해줘야 한다. 최소한 학원을 보내든가, 누구처럼 개인교사를 붙이든가 하는 따위의. 그렇지만 쥐뿔도 없는 나부랭이에게 그럴 여력이 있을 리 만무였다.

그렇다고 쉽사리 포기할 내가 아니었다. 비록 S대는 어려울지언정 최소한 'in 서울 대학'에 진입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나름 가정교육에 충실했다. 그중의 하나가 습관화된 사랑과 칭찬이었다.

"우리 아들은 항상 잘 해!" "내 딸이지만 너무 예뻐!" 병행하여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함께 도서관을 다녔다. 아들이 고3일 적엔 물 마시듯 즐겼던 술마저 수능을 보는 날까지 여덟 달 가까이 끊었다.

딸이 고등학생이 되면서는 3년간 등하굣길을 따라 나섰다. 격려와 배려를 양수겸장의 분수로 뿌렸음은 물론이다. 노력과 정성은 배신하지 않는다고 했던가. 결과론이겠지만 딸에 이어 아들 또한 S대 출신이다 보니 어딜 가도 자식 자랑 얘기만 나오면 내가 '항상 1등'이다.

혹자는 돈이 많다고 자랑한다. 또한 아파트를 샀는데 시세가 올라 단박 부자 반열에 올랐다고 흥분한다. 하지만 그런 사람들이 하나도 부럽지 않다. 따지고 보면 실은 내가 그들보다 더 '부자'인 때문이다.

마음이 부자인 사람이 진정한 부자인 때문이다. 외국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는 지금도 자녀가 성공하는 걸 최상의 삶의 가치로 간주한다. 따라서 아무리 어려운 처지일망정 자녀가 미루나무처럼 우뚝하면 누구도 무시하지 않는다.

반면 돈은 많더라도 자식들이 하나같이 개백정처럼 말과 행동까지 막된 사람이라면 단박 자식농사를 허투루 지었다며 욕먹는다. 그만큼 자식농사는 중요하다. 아무리 힘든 세파(世波)라지만 가족이 있음에 우리는 거뜬히 살아나간다.

가족은 살아갈, 살아내야 할 이유인 때문이다. 비록 지난 과거의 내 슬픔과 아픔은 둑까지 터져서 강물이 되었지만 이제는 아니다. 제 아빠와 엄마를 쏙 빼닮은 손주를 보는 기쁨은 이루 형용할 수조차 없는 행복의 절정이다.

나태주 시인은 [9월이]라는 시에서 '9월이 지구의 북반구 위에 머물러 있는 동안 사과는 사과나무 가지 위에서 익고 대추는 대추나무 가지 위에서 익고 너는 내 가슴 속에 들어와 익는다'고 했다.

동탄과 서울서 사는 아들과 딸이지만 아이들은 여전히 내 가슴 속에 들어와 마음까지 익혀주는 뜨거운 난로에 다름 아니다. 손주가 성장하면 아들과 딸 부부까지 손잡고 S대를 찾을 것이다. "너희들도 공부 열심히 해서 이 대학에 들어와야 한다!"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홍경석-작가-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4. 당진읍성광장, 주민 손으로 활짝 펴다!
  5.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