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 이야기] 임진왜란의 아픔 곳곳에 남아

[조영연의 산성 이야기] 임진왜란의 아픔 곳곳에 남아

제5회 왜성 선진리산성(船津里山城-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 승인 2017-07-14 00:01
  • 조영연조영연
▲ 사천성 왜성 천수각터, 토성과 사천만.
▲ 사천성 왜성 천수각터, 토성과 사천만.

5회-왜성 선진리산성(船津里山城-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사천읍으로부터 7km 남쪽 한려수도 깊숙한 사천만 안쪽 해안의 돌출부 구릉지에 위치했다. 성의 후면은 산업단지가 들어선 포구로서 해자 구실을 하며, 서쪽은 횟집단지, 남쪽은 조명군총이 자지했다. 지명처럼 과거에는 나루가 있었던 지역이다.

성은 크게 북편 높은 곳의 왜성부와 남쪽 토성부로 나눠졌지만 원래는 하나였던 것 같다. 아마 왜성은 이전의 토성 일부를 파괴하고 왜군의 거점성으로 축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왜성은 그 위에 천수각을 갖춘 성벽을 쌓았던 바 현재는 그 파괴된 성돌을 활용, 성벽 일부를 복원해 놓은 상태다. 성내에는 이 복원 성벽 외에 천수각지, 입구와 성문 등을 왜성 방식으로 재현해 놓았으나 그 모습이 모두 낮고 엉성하여 어색하기 짝이 없다.

남쪽 토성은 길이 약 200m 가량의 성벽이 뚜렷하고 그 성벽 밖에 해자로 삼았음 직한 도랑 지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체 둘레는 약 2km 넘을 것 같다.

안내 속 내용대로 목책을 세웠다면 남쪽 토성벽 아래 해자 근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토성 내부는 무슨무슨 전수관을 짓는다느니 하여 모두 파헤친 상태이며 문지 등 시설물은 찾을 길 없다. 왜성부 내부에 충무공의 승전비가, 천수각터 정상 중앙에는 6.25 이후 순국장병들의 충렬비가 세워졌는데 어쩐지 격에 맞지 않는 행위인 것 같다.

▲ 사천만과 사천대교
▲ 사천만과 사천대교

토성 등으로 미뤄 대체적으로 고려와 임진란 당시 사천 일대의 격전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여겨지며 왜성은 정유재란 무렵(1597. 10) 왜장 모리(毛利) 등이 쌓고 시마즈(島津) 군이 주둔하던 곳이다.

특히 임진란 초기인 1592년 5월 충무공이 13척의 왜선을 격파한 사천해전은 거북선이 최초로 활용된 의의도 있다. 정유재란 말기(1598. 10월 경)에는 조명연합군(朝明聯合軍)이 이 성을 공격하다 화약상자가 폭발, 혼란 속에 오히려 많은 희생자만 낸 채 후퇴했다 한다, 성 앞에 쌓여 악취를 내던 시체들을 모아 매장한 것을 후대에 정리하여 조성한 사각뿔형 조명군총(朝明軍塚)이 토성 밖에 있다.

왜군들은 그들의 전과를 보고하기 위해 베어낸 조선군들의 귀를 가져가 그것들을 모아 만들었다는 귀무덤(耳塚)이 일본 교토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를 받드는 도요쿠니신사(富國神祠) 안에 가토오 기요마사, 고니시 유키나가와 조선 침략 선봉장이었던 구로다 나카마사의 후손들이 죽은 이들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지었다 한다.

이 군총 밖 한 켠에 삼중스님이 일부를 가져와 세웠다는 새로운 귀무덤이 있다. 귀는 썩어 남았으랴만 흙 일부나마 뒤늦게 고국에 돌아온 것이다. 그 때의 핏물이 남았는지 성밖 바닷물이 벌겋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대 펜싱팀, 대통령배 전국펜싱선수권대회 에뻬 단체전 3위
  2. 폐교 예정 대전 성천초 주민 편의 복합시설 추진 협약
  3. 충남대-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중국서 그린바이오 인재 교육
  4. 한밭대 RISE 사업단, 플라즈마 표면처리 국제자격증 합격자 4명 배출
  5. 전북은행 대학생 서포터즈 5기 해단식 진행
  1. 천안교육지원청, 사랑의열매 천안시나눔봉사단과 '더불어 사는 세상' 위한 업무협약 체결
  2. 건양사이버대 총학생회, 수해 지역 이웃돕기 성금 기부
  3. 대전건설건축자재협회 'AI 전문가 초청강연' 개최
  4. 한온시스템, 2025년 하반기 채용 연계형 인턴모집
  5. [기고]대형복합화력 증설 멈추고 재생에너지 확대에 주력을

헤드라인 뉴스


투석환자 교통편의 제도정비 시급…지자체 무관심에 환자안전 사각

투석환자 교통편의 제도정비 시급…지자체 무관심에 환자안전 사각

<속보>20일 대전 한 병원에서 만난 조한영(49·가명)씨는 이틀에 한 번씩 인공신장실을 찾아 혈액 투석을 8년간 이어왔다. 월·수·금 오전 7시 병원에 도착해 4시간동안 투석을 받고 나면 체중은 많게는 3㎏까지 빠지고 어지럼증이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당뇨 합병증으로 콩팥이 먼저 나빠졌고, 오른쪽 눈은 실명했으며, 발에도 질환이 생겨 깁스처럼 발 전체를 감싸고 목발을 짚어서야 겨우 걸음을 뗀다. 투석은 생명을 지키는 일인데 집과 병원을 오가는 병원의 교통편의 제공마저 앞으로 중단되면 혼자서 투석을 이어갈 수 있을지 그는 심각하게..

[날씨] 12호 태풍 `링링` 영향…폭염·열대야 강화
[날씨] 12호 태풍 '링링' 영향…폭염·열대야 강화

주말인 23~24일 폭염과 열대야 현상이 강화됨에 따라 무더위가 이어질 가운데 내륙 곳곳에 국지적 소나기가 내릴 전망이다. 21일 기상청에 따르면 제12호 태풍 '링링'이 동북 동진 중이다. 태풍은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일본 남동쪽 해상 가장자리를 따라 규슈를 통과할 예정이다. 이번 주말(23~24일)은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결합해 한반도 고기압이 두터워지며 지금보다 온도가 1~2도 더 올라 폭염이 다소 강화된다. 또한, 내륙 중심에 5~40㎜의 국지적 소나기가 내리겠다. 특히 대전·세종·충남 전 지역에 폭염특보 발효에..

충남도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 요구… 정부 "추가 지급 결정"
충남도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 요구… 정부 "추가 지급 결정"

충남도가 지난달 기록적인 폭우에 따른 지원금을 정부에 지속 건의한 결과, 정부가 추가지원을 결정했다. 21일 도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폭우 피해 지원대책 기자회견에서 정부에 피해 지원금 현실화를 건의하겠다는 입장 발표를 시작으로, 정부부처의 현장점검 등에서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를 요청해 왔다. 김태흠 지사도 1일 열린 대통령 주재 제1차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분야별 지원금 현실화를 공식 건의한 바 있다. 당시 김 지사는 농업 분야와 관련해 정부의 지원기준인 복구비(대파대) 50%를 100%로 상향하고 농업시설 복구비도 기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드론테러를 막아라’ ‘드론테러를 막아라’

  •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