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세계문화유산 돈암서원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세계문화유산 돈암서원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19-07-1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한국의 서원'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반가운 마음에 문화유산 등재 기사를 모아보다 보니 "1995년 종묘, 해인사 장경판 등이 등재된 이후 우리나라는 총 14개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고 전한 기사가 더러 있다. 이 중 '해인사 장경판'이라 쓴 것은 잘못이다. 실수로 보이나 중요한 차이가 있어 짚고 넘어가기로 한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은 13세기 제작된 팔만대장경판을 봉안하기 위해 15세기 지어진 것으로 추정하는 '해인사 장경판전'이다. 간결하고 소박하나 매우 아름다운 건물이다. 목판을 보전하기 위해 지어진 세계 유일의 건축물로 지금도 재현하지 못하는 보관기능을 가지고 있다. 자연통풍만으로 적절히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다. 실내 전체가 균일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물을 배치하였다. 그 오랜 세월 8만여 장의 대장경판이 조금도 변질되거나 손상되지 않았다. 장경판은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으로 2007년 별도로 기록유산에 등재된다.



한국의 서원은 돈암서원(충남 논산)을 비롯, 소수서원(경북 영주), 도산서원(경북 안동), 병산서원(경북 안동), 옥산서원(경북 경주), 도동서원(대구 달성), 남계서원(경남 함양), 필암서원(전남 장성), 무성서원(전북 정읍) 등 총 9개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다. 모두 국가지정문화재이다. 진정성·완전성·보존관리계획 등 제반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한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유산 14건, 무형유산 20건, 기록유산 16건을 등재하게 되었다. 실로 자랑스러운 일이다.

돈암서원은 논산시 연산면 1번 국도변에 있다. 김장생(金長生, 1548 ~ 1631)의 부친 계휘(金繼輝, 1526 ~ 1582)가 경회당을 설립하였고 김장생이 양성당을 세워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썼다. 1634년 경회당과 양성당을 중심으로 서원이 건립, 1660년(현종1) '돈암(遯巖)'이라 사액(賜額) 된다. 1993년 10월 18일 사적 제282호로 지적된 바 있다. 호서는 물론 기호유림 전체를 영도하는 서원으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처음엔 김장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김장생의 위패만 모셨다가 1658년(효종9) 김집(金集, 1574 ~ 1656), 1688년(숙종14) 송준길(宋浚吉, 1606 ~ 1672), 1695년(숙종21)에 송시열(宋時烈, 1607 ~ 1689)을 각각 추가 배향한다.



의도당
돈암서원 내에 있는 보물 제1569호 의도당
양성당
동재와 서재, 양성당
흥선대원군이 1864년부터 시작한 서원철폐에도 훼철(毁撤)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로, 입덕문(入德門) 앞에 산앙루(山仰樓)가 있고, 담장 아래로 하마비(下馬碑)와 송덕비(頌德碑)가 정리되어 있다. 문을 들어서면 좌측에 보물 제1569호인 응도당(凝道堂)이 있고, 우측에 경회당이 있다. 사우(祠宇)인 숭례사(崇禮祠)·기숙사인 동재 거경재(居敬齋)와 서재 정의재(精義齋)·양성당(養性堂)·장판각(藏板閣)·정회당(靜會堂)·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 등의 건물이 있다. 각 건물의 현판과 목판 등은 예학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서원의 역할은 성리학의 연구와 교육, 보급하는 것에 있다. 돈암서원은 좀 다르다는 생각이다. 가례를 완성한 김장생을 모시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 예학(禮學)의 종장(宗匠)은 누가 뭐래도 사계 김장생이다. 거의 조정에 나가지 않고 향리에 머물면서 학문과 교육에 전념하였다. 그러함에도, 인조반정 이후 서인의 영수 격으로 영향력이 매우 컸다. 비중 있는 명사를 즐비하게 배출하였다. 많은 저술 활동을 하였던바, 『사계전서(沙溪全書)』 51권이 전한다. 대부분 예에 관한 것이라 한다. 예학의 태두로 예학파의 한 주류를 형성하였다.

예는 인간의 품성을 다스리는 일이다. 관습에 근거한 행동규범이다. 집단에 의해 강제되기도 한다. 대인관계 및 관혼상제를 비롯한 제반 의식행사에 있어서 바람직한 처세를 제시한다. 지켜야 할 도리이다. 특히 유학은 예를 강조했기 때문에 유교 문화를 예의 문화라고도 한다. 사회에는 다른 사람을 불쾌하게 하지 않거나 상호존중, 경건, 엄숙함이 필요하다. 따라서 예는 덕이기도 하다. 공자는 인간 최고의 덕을 인으로 보았다. 그 인은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는 것(克己復禮)이라 하였다.

현재 돈암서원에서는 '돈암서원 예(禮) 힐링캠프'와 '돈암서원 인성학교' 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들었다. 동시에 한옥 체험마을과 예학관 등의 개관을 서두르고 있다 한다. 내년 개관을 목표로 한옥 체험마을과 예학관 등 16개 건축물을 건축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건축물이 문제가 아니라 나아가, 살아 있는 예학과 예의 전당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웅호걸도 가까이 보면 필부필부匹夫匹婦로 보인다. 뛰어난 보배도 늘 바라보면 하찮게 느껴진다. 뛰어난 모습은 잘 보이지 않는다. 지역에 있다 보니, 우리 모두 소홀히 대한 것은 아닐까? 우리가 소중히 하지 않는데 누가 소중히 하겠는가? 누구나 깊은 관심으로 문화유산을 바람직하게 보전해야 한다. 기려야 한다.

사람의 인식은 늘 변화한다. 예절이나 규범도 바뀌게 되어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사회 존속을 위해 변함없이 필요로 한다. 아무리 생각해도 요즈음 세태는 예를 벗어나고 있다.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동방예의지국의 혼이 되살아나기를, 되살려 보기를 희망한다. 명실상부한 충절의 고장이 되기를 기대한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2.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3.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4.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5. <인사>대전시
  1.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2.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5. [한성일이 만난 사람]김용교 전 아산시 부시장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