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중구 유등천 파크골프장 전경. |
대전 지역 내 하천 체육시설의 관리 일원화 요구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시의 관련 대책 수립이 더뎌 시민들의 불만이 크다.
14일 대전시에 따르면 하천 체육시설 관리 주체 일원화에 대한 내용은 내부적으로 검토해야 할 사항이 많다는 이유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지난 9월 시는 '하천 체육시설 관리 일원화 방안에 대한 찬·반'에 대한 5개 자치구 의견을 조사했다. 이에 모든 자치구는 일원화를 찬성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현재 하천 내 체육시설은 모두 118곳으로 조성 주체에 따라 관리하고 있다.
대전시 4곳, 하천관리사업소 107곳, 중구 5곳, 유성구 2곳이다. 시는 당시 하천 체육시설 관리가 일원화 될 경우 시·구에서 조성한 체육시설(파크골프장, 그라운드 골프장, 우드볼 등 8곳)을 포함한 모든 곳을 시 하천관리사업소가 관리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하천관리사업소와의 논의도 더딘 상황이다.
관리 주체를 하천관리사업소에 맡기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한 시가 사업소와 논의도 하지 않은 채 자치구 의견을 조사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시 하천관리사업소 관계자는 "현재 결정된 사항은 없다"며 "해당 사업 추진은 시 체육관리 부서에서 진행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시가 하천 체육시설 관리 일원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이유는 관리 주체를 놓고 형평성 논란이 꾸준히 제기돼 왔기 때문이다.
지역 내 하천인 갑천, 유등천, 대전천은 모두 국가 하천이다. 그러나 갑천에 조성된 시설 관리는 대전시가 담당하고 있으며, 유등천에 있는 시설은 중구가 관리한다.
때문에 중구에 있는 골프장을 이용하는 시민은 그라운드 내 잡초를 직접 뽑거나 사비를 들여 기계를 구입해 시설을 관리하는 반면, 갑천의 체육시설은 주기적으로 시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중구에서 관리하는 시설 이용자들은 관리 주체에 따른 형평성 문제 외에도 다른 불만이 많다. 이용자들은 각 골프장의 그늘막과 홀 개수가 유성구·서구와 비교했을 때 중구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중구의 하천 체육시설 이용자 A 씨는 "열악한 환경 개선은 중구에 4년 전부터 요청했다. 그러나 재정 문제 때문에 추진되기 힘들다는 답변을 받았다"며 "대전시가 시민들이 지역에 따라 차별받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공감했다면, 관리 주제 일원화 등을 이렇게 오래 끌지 않았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시는 일원화에 대해선 검토가 끝나는 대로 연말까지 추진 하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부서 간 검토해야 할 사항이 있다"며 "연내에는 마무리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소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