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상의 교수. 서상희 충남대 수의과대학 서상희 교수(55.사진) 연구팀이 세포 배양기술을 이용한 '코로나바이러스-19' 백신 항원을 생산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사진=충남대 제공) |
서상희 교수 연구팀은 정부로부터 허가받은 안전이 보장되는 생물 안전 3등급 시설(BSL-3) 내에서 원숭이 유래 신장 세포인 베로(Vero) 세포를 배양하고 이에 코로나바이러스-19를 감염해 바이러스를 증폭하고 바이러스 단백질을 정제 후 포르말린 (formalin)으로 불활화 (inactivation)해 코로나바이러스-19 백신 항원을 생산했다.
연구팀은 생산된 백신 항원의 면역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동물 (마우스)에 접종해 코로나바이러스-19의 감염을 막을 수 있는 항체(중화항체)가 잘 유도하는지, 독성은 없는지를 검증할 예정이다.
이 검증은 약 4-6주 정도 소요될 것으로 판단되며, 코로나바이러스-19가 감염되는 마우스(hACE2-TG 마우스: 사람 코로나바이러스-19 수용체 형질전환 마우스)가 곧 확보하는 대로 방어실험도 수행할 예정이다.
현재 사람에게 상용화돼 있는 대부분 바이러스 백신은 바이러스 백신 주를 세포 등을 이용해 대량생산 후 포르말린 등을 처리해 불활화(inactivation)한 사독백신(독감백신, A형 감염백신, 소아마비 백신, 광견병백신)이거나,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떨어뜨린 약독화된 생독 백신 (홍역백신, 유행성이하선염 백신, 풍진백신, 천연두백신, 수두백신, 황열백신, 독감백신)이다.
코로나바이러스-19 백신 개발의 관건은 우선 백신 공장에서 백신 항원을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병원성을 약화한 백신 주를 개발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는 건강한 사람에 코로 스프레이 방식으로 뿌리는 백신 주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코로나바이러스-19는 병원성이 높아 BSL-3 시설 내에서만 백신 항원 생산이 가능하다.
서상희 교수 연구팀은 우선, 코로나바이러스-19 대유행에 대비해 일반 백신 공장에서 사독 백신 생산이 가능하도록 병원성을 약화한 코로나바이러스-19 백신 주를 최대한 빨리 개발하는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오희룡 기자 huily@
![]() |
코로나바이러스-19 백신 항원 생산 모식도. (충남대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