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0일 대전 산내 골령골에서 열린 봉안식에서 박선주 공동조사단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임효인 기자 |
한국전쟁기민간인학살유해발굴공동조사단은 지난 20일 오전 대전 산내 골령골(낭월동 13번지)에서 유해발굴 희생자 봉안식을 열고 종교의식과 제례 등을 진행한 후 250여구의 유해를 세종 추모의집에 안장했다.
지난 40일간 진행된 유해발굴에선 그동안 증언으로만 이어지던 미성년과 여성 희생자의 유해가 발굴됐다. 당초 유해발굴 종료를 앞두고 150구가량으로 추정됐던 유해가 막바지에 대거 늘어나 역대 발굴과정 중 가장 많은 유해가 세상 밖으로 나왔다.
이번 발굴을 이끈 박선주 공동조사단장은 "70년 전 일어난 사건, 그 70년 동안 유가족들 참 고생이 많았고 저희들의 노력이 유가족에게 위로가 됐으면 좋겠다"며 "발굴 작업은 앞으로 2년간 지속되는 동안 여러분의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박 단장은 이번 발굴을 진행하며 감사한 마음을 전하기도 했다. 박 단장은 "발굴을 마치며 참여했던 발굴대원과 자원봉사 여러분께 감사하다. 매일 현장에 와 주셨다"며 "끝으로 1950년 이 자리서 일어났던 사건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찾아주신 데이비드 밀러 박사에게도 감사하다. 1950년 일어났던 사건에 대한 기록을 영국에서 찾아 큰 도움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봉안식에 앞서 대전산내골령골대책회의는 유해발굴 종료에 따른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와 정부가 책무를 다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대전산내골령골대책회의는 희생자유족회를 비롯해 지역 26개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 |
대전산내골령골대책회의는 봉안식에 앞서 올해 유해발굴 종료에 따른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와 정부의 책무를 촉구했다. |
행정안전부와 대전 동구는 내년 5억 7000만 원가량 편성된 발굴 예산을 토대로 유해 발굴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내후년인 2022년까지 유해발굴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