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도권 광역 음폐수 바이오가스화시설 |
공사의 음폐수 처리용량은 일일 1430t으로 2006년부터 현재까지 404만t, 일평균 894t을 반입 처리하고 있다. 지난해는 34만t을 처리하고 전력판매대금 6억원, LNG 연료 비용 절감 42억원 등 총 48억원의 수익을 거뒀다.
공사는 2013년부터 음폐수의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와 협약을 통해 사업비 443억원(국비 127억원, 지방비 316억원)을 들여 일 500t 규모의 음폐수 바이오가스화시설을 추가로 설치하는 등 총 1430t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운영 중에 있다.
아울러 수도권 37개 지자체에서 발생되는 음폐수는 공사로 반입되고 있으며, 나머지 음폐수는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하수처리장 및 소각시설에서 처리하거나, 민간사업자가 운영하는 음식물폐수 처리시설에 위탁 처리하고 있다.
홍성균 음폐수시설부장은 "음식물찌꺼기에서 나온 폐수는 소각하는 것보다 가스와 전기로 생산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고 밝혔다.
인천=주관철 기자 jkc05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