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태흠 충남도지사의 정책 전략 중 하나인 데다, 데이터와 통계가 확보되면 맞춤 정책을 발굴할 수 있고, 정책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17일 충남도에 따르면, 민선8기 196개 과제(공약 130, 역점 66)에 대한 정책 결정 및 문제해결에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 활성화를 추진한다. 우선, 민간데이터 활용에 집중한다. 민간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융합해 입지, 사업타당성, 관광과 축제 등을 분석하고, 주요 정책의 과학적 의사결정에 활용해 정책 효과를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출범 이후 '데이터 확보'에 대한 강조를 꾸준히 해왔다. 김 지사는 최근 실국원장회의에서 "비효율적인 정책은 예산낭비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며 "세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상 속에서 자영업자의 경우 현금 거래가와 카드 이용객 등의 데이터를 분석해 차별 없는 지원이 이뤄지도록 개선한다거나, 농업 인구의 경우 땅 소유 면적 등을 통해 지원과 정책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데이터 확립이 필요하다는 게 김 지사의 구상이다.
충남도는 민간데이터인 통신기반 유동인구, 카드소비, 신용정보, 네비게이션 이동 등을 도와 시군이 공동구매한 뒤, 도·시·군·충남연구원·관광재단 등 공공기관과 공동으로 활용한다. 비용은 연간 10억 원이다.
이를 확대해 과제분석 활용성을 높이고 예산절감 효과를 도모할 계획이다. 6월 기준 공동구매 민간데이터 활용 내역을 보면, 농촌협약 공모 농촌공간분석 기초자료, 충남 관광지 유동인구 분석 데이터, 서산공항 수요 분석 등 17건을 활용했는데, 민간구매 데이터 개별 구매보다 예산 절감 효과가 뛰어나다는 게 도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뿐 아니라 데이터 관리에도 나선다. 충남데이터포털 '올담'을 통해 실·국별 중점 데이터를 발굴하고 수집한다. 민간데이터와 연계·융합해 정책 활용성을 강화한다는 취지다. 데이터분석센터도 설립해 도정 주요 현안에 대한 선제적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실·국 분석 지원 등 지속 가능한 데이터 중심 행정으로 전환한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데이터 통계 마련에 온 역량을 쏟겠다는 입장이다. 김 지사는 "민선 8기 공약을 떠나 예산이 많이 소요되더라도 민간 전문가에 의뢰를 하고 활용을 해 나가야 한다"며 "누가 오더라도 도정을 이끌어가는 데 있어서 통계와 데이터가 디테일하게 가야 한다는 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포=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