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다문화] 공주칼국수, 한 그릇 하실래요?

  • 다문화신문
  • 공주

[공주다문화] 공주칼국수, 한 그릇 하실래요?

  • 승인 2025-05-06 11:31
  • 신문게재 2024-11-10 12면
  • 충남다문화뉴스 기자충남다문화뉴스 기자
[5-7] 박진희 기자_칼국수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은 무얼까? 열 손가락을 몇 날 며칠 놀린들 차고 넘치는 산해진미(山海珍味)를 어찌 헤아릴 수 있겠는가. 그러니 그중 한 가지만을 꼽기란 쉽지 않지만, 맛있는 음식에는 간단한 공식이 성립한다. 제철에 난 재료를 현지에서 공수해 바로 만들어 먹는 요리야말로 부정할 수 없는 별미다. 그렇다 보니, 나라마다 지역마다 한 나라 혹은 한 지역을 대표하는 음식이 다를 수밖에 없다.

공주에는 '공주칼국수'가 있다. 칼국수는 밀가루처럼 찰기가 있는 곡물을 가루 내 반죽한 후 얇게 밀어 칼로 썬 다음 맑은장국에 넣고 끓인 음식이다. 면을 따로 삶지 않고 끓는 육수에 넣어 익히며, 감자나 애호박을 함께 넣어 끓이는 것이 일반적인 조리법이다.

'진가루'라 불리며 귀한 대접받던 밀가루가 흔해지면서 칼국수는 서민 음식으로 대표되었다. 계절에 상관없이 여타 식재료를 구하기 쉬워지면서 팥칼국수, 해물칼국수, 들깨칼국수 등 종류도 다양해졌다.

[5-7]박진희 기자_고추다대기
공주칼국수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는 육지에서 자라는 동물 뼈로 육수를 낸다는 점이다. 두 번째 특징은 굴(石花)이 듬뿍 들어간다. 마지막으로 삭힌 고추를 양념장으로 낸다는 점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일반 칼국수는 밀이 생산되는 여름에 주로 먹지만, 공주칼국수는 가을부터 겨울에 먹어야 제맛을 즐길 수 있다. 이 시기에 굴의 영양가가 높아지고 맛도 좋기 때문이다. 유럽 등지에서 '바다에서 나는 우유'라고 불리며 비싼 대접받는 굴이 바다가 없는 공주에서 칼국수 재료로 아낌없이 사용될 수 있던 건 큰 시장과 금강(錦江)이 있어서 가능했다. 바다에서 채취한 신선한 굴을 공주 포구까지 배로 실어 나를 수 있었고, 인구밀도가 높고 유동 인구가 많았던 공주는 지극히 매력적인 소비처였다. 그 위에 큰 우시장이 형성된 점과 강도 높은 노동을 하는 이들의 입맛에 맞춰 칼칼한 맛이 가미되면서 공주칼국수는 지역의 맛을 상징하는 먹거리로 자리매김했을 것이다.



1995년 이후 발행된 문헌에 의하면 공주칼국수는 사골과 양지머리로 우려낸 육수를 낸다. 고명으로 다진 쇠고기와 채를 썬 표고버섯, 고춧가루로 양념한 파를 얹고 양념장을 곁들이는 것으로 적고 있다. 고급 식재료를 쓰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지만, 전국적으로 표준화된 칼국수와 별반 다르지 않다. 산업의 변화와 함께 수로(水路) 대신 철도 수송이 보편화되고, 일자리를 찾아 타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인구가 급증하면서 공주칼국수는 점차 먼 추억 속으로 자취를 감춰가고 있다. 공주의 그 옛날 애달픈 세월을 치대어 가며.
박진희 명예기자(한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2.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3.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1. 인천의 '극지연구소'는 부산 이전 불발...세종시는?
  2.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게임 좋아하던 중학생, 게임 개발자가 되다
  3.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4. 서천 호우주의보 발효…충남 남부 중심 매우 강한 비
  5. 자신의 금융정보 넘겨 대포 통장·폰 개설 도운 20대 실형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