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봄의 불청객, 우박으로부터 안전한 일상 지키기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기고]봄의 불청객, 우박으로부터 안전한 일상 지키기

장동언 기상청장

  • 승인 2025-04-16 10:04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2025032501001896900076311
장동언 기상청장
따스한 햇살 아래 알록달록한 꽃들이 만개하며 봄의 전령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꽃잎이 흩날리는 거리나 푸릇푸릇한 새싹이 돋아나는 공원에서 산책을 즐기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봄을 한껏 즐겨본다.

하지만 봄이 따뜻한 햇살과 아름다운 풍경만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다. 갑자기 나타나는 불청객 '우박'이 우리의 일상을 위협하기도 한다. 우박은 작은 콩알만 한 것부터 야구공만 한 크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발생 빈도는 낮지만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자동차 유리창을 깨뜨리거나 농작물을 훼손하는 등 심각한 재산 피해를 일으킬 수 있고, 주먹만 한 크기의 커다란 우박은 심각한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도 있다.

우리의 일상을 헤칠 수 있는 위험한 기상현상인 우박은 무엇일까. 눈의 결정 주위에 차가운 물방울이 얼어붙어 지상에 떨어지는 지름 5mm 이상의 얼음덩어리로,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얼음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우박은 대기 불안정으로 생성된 적란운 속에서 복잡한 과정을 거치며 형성되는데,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상승해서 적란운이 형성되면, 내부의 강한 상승 기류를 타고 올라간 수증기가 과냉각된 물방울과 만나 얼어붙어 우박 핵을 만든다. 이 핵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며 주변의 과냉각된 물방울과 충돌하고 얼어붙기를 반복하면서, 점점 크기가 커지고 다양한 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승 기류가 더 이상 우박의 무게를 지탱할 수 없을 만큼 무거워지면, 중력에 의해 지상으로 떨어지게 된다.

우박은 어느 계절에나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봄부터 가을 사이에 자주 발생한다. 이 시기에는 지표면이 가열되어 상층과 하층의 기온 차가 크게 나타나 상승 기류가 활발해져서 적란운 발달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1991년부터 2020년까지 30년간 한 해 동안 대전의 평균 우박 일수는 약 1.3일이며, 봄철인 3~5월 사이의 월별 우박 일수는 평균 3.3일로 봄철에 가장 많은 우박이 내렸다.



봄부터 가을 사이는 농작물이 자라나는 시기로, 우박으로 인해 농작물에 많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한 예로, 지난 2023년 6월 경북, 충북 등 전국 곳곳에 우박이 내렸고,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당시 고추, 옥수수 등 농작물의 피해 규모는 약 1,185ha에 달했다.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2023년 재해연보에 의하면, 그해 우박에 의한 피해액은 약 22억 원이며, 그중 농작물 피해액이 약 15억 원으로 우박에 의한 피해 유형 중 농작물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처럼 우박은 낮은 발생 빈도에 비해 큰 피해를 불러오며, 특히 농작물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농가에서는 각별한 주의와 대비가 필요하다.

기상청은 우박으로 인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먼저, 기상 관측 장비인 기상레이더와 기상위성을 비롯한 지상・고층 관측자료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대기 상태를 면밀히 관측하고, 수집된 방대한 데이터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우박 발생 가능성을 예측한다. 또한, 날씨누리와 날씨알리미 앱을 통해 우박 발생 가능성이 큰 지역과 시간, 우박과 동반되는 악천후 관련 기상 정보를 국민에게 신속하게 제공하여,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나아가, 우박 발생 시 국민행동요령도 적극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우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 대비와 더불어 우박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중요하다. 우박이 발생했을 때는 건물 안이나 지하 주차장 등 안전한 실내로 신속히 대피하고, 실내로 피하기 어렵다면 가방이나 두꺼운 옷으로 머리를 보호하며 몸을 웅크려야 한다. 운전 중에 우박을 만났다면 속도를 줄이고 안전거리를 확보하며, 가급적 안전한 곳에 정차하여 우박이 멈출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다.

봄은 우리에게 설렘과 희망을 안겨 주는 아름다운 계절이지만, 때로는 예상치 못한 위험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완연한 봄을 온전히 즐기기 위해 기상청이 제공하는 우박 발생 가능성 정보를 자주 확인하고 우박 발생 시 행동 요령을 미리 숙지하여, 모두가 안전하고 즐거운 봄을 보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장동언 기상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2. 인천의 '극지연구소'는 부산 이전 불발...세종시는?
  3.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4.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5.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1.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2.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게임 좋아하던 중학생, 게임 개발자가 되다
  3. 집현동 테크밸리, 나성·어진·대평동 공실 지역 연계 필요
  4.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5. 서천 호우주의보 발효…충남 남부 중심 매우 강한 비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